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권시간찰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권시간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권시의 간찰 <근묵(槿墨)>은 34책으로 이루어진 첩장본(帖裝本)으로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선생이 우리나라 선현들의 묵적 가운데 서간류의 소품을 수집하여 엮은 것이다. 수록된 작가는 고려 말의 정몽주(鄭?周)‚ 길재(吉再)‚ 조선초기의 정도전(鄭道傳)‚ 강회백(??伯)‚ 대한 제국기의 이도영(李道榮)에 이르기까지 약 1136명에 달한다. 연대는 대략 600여 년에 걸쳐 있다. 작가의 신분별로 보면 임금에서 사대부에 이르며‚ 직업별로 보면 관료‚ 학자‚ 승려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또한 서체별로 보면 행서가 595점‚ 초서가 468점으로 행초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서는 57점‚ 전예는 16점으로 전예해행초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다. 문장의 내용면은 서간이 720점‚ 시고가 353점‚ 제발 및 기타 잡문이 62점으로 내용면에서도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근묵에는 600년 간에 걸친 우리 선현들의 생활사를 볼수 있기에 옛 사람의 사생활의 실태는 이러한 서간첩(書簡帖)이 아니고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중요한 사회사의 자료가 된다. 서법은 대부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운필하여 바쁜 가운데 비필난초(飛筆亂草)로 휘두른 것으로 그 필치는 유려하고 창달하여 보는 사람들의 심목을 흔결(欣決)케 하는 감동을 지니고 있다. 아무런 제약과 의도적인 작태가 없는 서간의 서품은 그것이 글씨의 본바탕이며 작가의 개성을 그대로 살린 작품으로 근묵은 600년의 살아 있는 서예사가 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서간형식의 변천과 서압(署押)의 양상을 연구할 수 있어‚ 역사‚ 민속‚ 사회사‚ 서법연구 등 여러 측면에서 귀중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권시(權?) 1604(선조 37년)-1672(현종 13년) 안동(安東) 사람으로 자는 사성(?誠)‚ 호는 탄옹(炭翁)이다. 천거로 대군사전‚ 한성부우윤‚ 좌윤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기호학파로 예론에 밝았으며‚ 저서로는 탄옹집(炭翁集)이 있다. 前月 省先壟 還見兄書在鄙箱 知兄到明甫所 ?不得會也 前日 兄寄明兄及抵?兩書 俱得?? 所示未發之論及其取象 實所?服 今行 道過金克亨泰叔 亦說此 則以爲朱子他書中所說 及程子意固然 而?中庸或問 至靜爲坤卦之象 則與其他說及程子不同 或問乃朱子末年精鍊之書 似當以或問爲定云云 歸考或問則 見似上下語意 互相抵梧 未敢領解其詳 未容筆喩 何由面討 豈愚見未逮耳 實無異同耶 乞因便示破 幸甚 且?所聞 正是兄 與尹言者也 愚意正?兄意指退而言也 ?進者之必盡言責 必盡官守 不得則去 只是 吾職分當然也 量而後入 不可則處自 是退者之當然也 無論常變 進退各行其分耳 爲?下宇 要免 使人易差過 ?平易路徑也 顧念就進者 言有此方物發慮之說耳 初學未有聖賢力量 而遽論進者之事 ?未免邯鄲之步也 忙忙不宣 向見 明甫近欲簡泰之會道山 ?得兄來 何幸 己卯九月六日 ?頓首 英甫兄上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