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김정회묵죽도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김정회묵죽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김정회는 기우만(套宇萬)에게 한학을 배우고 김규진(金圭鎭)에게 서화를 배웠는데‚ 특히 난(蘭)과 죽(竹)은 일품으로 쳤다. 유학자로도 명성이 높아 성균관대학교의 전신인 경학원(經學院)에서 경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사군자는 춘하추동에 해당되는 네 가지 식물‚ 즉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그린 그림이다. 매화는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제일 먼제 꽃피우며 난초는 은은한 향기를 멀리까지 퍼뜨리고 국화는 늦은 가을에 첫 추위를 이겨내며 대나무는 겨울에도 푸른 잎을 계속 유지한다는 각 식물 특유의 장점을 군자‚ 즉 학식을 갖춘 사람의 인품에 비유한 것이다. 사군자는 수묵화가 발달하기 전에는 형태의 윤곽을 선으로 먼저 그리고 그 안을 채색으로 메꾸는 구륵전채법으로 그려녔으나 북송시대부터는 사대부화가들에 의해서 먹이나 채색만을 사용하여 그리는 몰골법 묵화나 가느다란 먹선만 사용하는 백묘법으로 그려졌다. 사군자는 다른 소재에 비해 형태가 비교적 간단하여 서예의 기법을 이용하여 그릴 수 있으므로 서예와 동일시되기도 하였다. 즉 글씨가 그 사람의 인품을 반영한다는 원리의 연장으로 사군자도 화가의 인품을 반영한다고 믿어 문인화의 소재로 유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북송의 소식과 문동이 묵중을 문인화의 소재로 발달시키면서 시작된 사군자는 원나라 때에는 몽고족에게 나라를 잃었던 한족의 지조와 저항을 표현하는 수단으로도 사용되었다. 사군자라는 총칭이 생긴 시기는 확실하지 않으나 대략 명대 이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시대에 사대부들이 묵죽‚ 묵매를 그렸다는 기록이 있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사대부는 물론 화원들도 대나무 그림을 많이 그렸고‚ 또한 15‚ 16세기부터는 백자의 표면에도 나타났다. 사군자화의 기법이 일반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조선 후기에 <재자원화보>가 전해지면서부터이며 특히 남종문인화의 본격적인 유행으로 널리 그려지게 되엇다. 본 박물관에 소장중인 작품은 사군자 중에서도 대나무를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의 작가 김정회의 묵죽은 간결하면서도 힘있는 필치가 그의 정신세계와 개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