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어피벼루집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어피벼루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일반적인 의미에서 함이란 의류나 패물 등을 넣어두는 상자로. 궤에 비해 크기가 작으며‚ 뚜껑이 위에 있고 경첩을 뒤에 달아 여닫을 수 있거나‚ 뚜껑을 덮어씌우도록 한 가구이다. 아래짝은 깊고‚ 위의 뚜껑은 작고 야트막하며 후면에 경첩이 달려 있는 경우도 있다. 대개 크기가 작아서 다른 가구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장식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일반 서민 가정에서는 저렴한 재료로 만들어 주로 수장구(收藏具)로 사용하였다. 모양은 정사각형에서 직사각형 등으로 단조로우나 뚜껑과 몸체를 연이은 모서리까지 장식이 풍부하여 화려하다. 그 종류 역시 다양하여 안방용으로 보석함·실함·바느질함·혼함(婚函) 등과 사랑방용으로 인함(印函)·문서함·관모함(冠帽函) 등이 있고‚ 또한 재료에 따라 오동함·초각함(草角函)·죽장함(竹張函)·교피함(鮫皮函) 등이 있다. 보통 결혼식을 올리기 전에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물을 담아보내는 상자를 함이라도 한다.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은 연함이다. 연함(硯函)은 벼루를 보관하는 함으로‚ 고비 ·필통 ·지통(紙筒) 등의 문방가구(文房家具)와 함께 학문과 예술의 온상으로서의 사랑방의 문방생활을 뒷받침하여 주는 문방가구 중의 하나이다. 벼루함이라고도 한다. 문방구는 서화를 그리고 책을 읽기 위하여 서재의 책상 위에 비치하는 기물로써‚ 장식도 겸하기 때문에 화려하게 만들어졌다. 낙랑고분(樂?古墳)에서는 도금한 필통이나 벼루를 얹어 두었던 서랍 딸린 주칠(朱漆) 문방대(臺)가 발견되었다. 그 후에도 이러한 벼루류를 넣어두는 문방구 상자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당대(唐代) 이후로는 벼루가 대형화하고‚ 단계석(端溪石) 등의 뛰어난 벼루가 출현하였기 때문에 단독으로 책상 위에 놓이게 되었으며‚ 그 밖의 필통 ·필가(筆架) ·묵대(墨臺) ·연적(硯滴) ·문진(文鎭) ·연병(硯屛) ·도장 ·인합(印盒) 등의 자그마한 공예품도 벼루 주위에 놓이게 되었다. 송대(宋代)부터는 종이 ·붓 ·먹 ·벼루를 문방사우(文房四友) 또는 문방사보(文房四寶)‚ 문방사완(文房四?) 등으로 부르며 사용하였다. 그 밖의 문구류도 도자(陶瓷) ·금동 ·옥 ·미석(美石) ·상아 ·나무 ·대나무 등으로 공예품화했다. 본 박물관의 벼루집은 특이하게도 어피로 제작된 것이다. 가로의 길이는 약 24㎝이고‚ 세로가 약 14㎝‚ 높이가 약 9.5㎝의 꽤 큰 모양으로 내부는 2중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