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부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석부는 둥근 자갈이나 몸돌(石核) 혹은 큰 돌조각을 다듬거나 갈아서 만든 도끼를 말한다. 크게 파편을 떼어내고 다듬은 뗀돌도끼(打製石斧)와 떼어낸 다음 갈아서 완성시키거나 타원형의 자갈을 갈아서 만든 간돌도끼(磨製石斧)로 구분된다. 뗀돌도끼는 가장 오래된 돌도끼로서 구석기시대부터 사용되었다. 떼기(剝離)가 용이할 뿐 아니라 단단하고 예리한 날의 제작이 가능한 석영·석영암·규석 등으로 만들었다. 외날찍개·양날찍개·손도끼·박편도끼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뗀도끼들은 다목적 도구로 쓰였으며 신석기시대에는 간돌도끼의 출현으로 대체로 소멸되었다. 간돌도끼는 대개 손아귀에 쥘 만한 크기의 타원형 자갈을 날부분만 갈거나 전체를 도끼형태로 갈아서 만들거나 대형의 편평납작한 파편을 갈아 만들었다. 신석기시대에 성행해 청동기·철기의 출현 이후로도 계속 사용되었으나 철기의 완전보급과 더불어 소멸되었다. 돌도끼는 용도에 따라 크게 도끼와 자귀로 구분된다. 구석기시대의 뗀돌도끼는 다목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신석기시대 이후의 간돌도끼는 도끼와 자귀로 구분되고‚ 다시 각각 많은 종류로 나뉜다. 도끼는 전쟁·수렵용 무기로 쓰이거나 나무를 벌채‚ 절단‚ 절개하는 데 사용된 반면‚ 자귀는 도끼로 자른 재목으로 여러 가지 기구나 목조구조물을 만드는데 쓰는 가공구(加工具)로 사용되었다. 도끼와 자귀는 착병법(着柄法)이 서로 다르다. 도끼는 단면이 대칭인 날을 지니고‚ 날의 선(刃線)과 나무로 된 자루선의 방향이 평행을 이루지만‚ 자귀는 날의 선과 자루선이 직각을 이룬다. 돌도끼는 형태에 따라 양날돌도끼(兩刃石斧)와 외날돌도끼(單刃石斧)로 구분된다. 양날도끼는 날을 양쪽에서 똑같이 갈아 좌우 대칭인 형의 날부분을 지니며‚ 외날도끼는 한 면만 사각(斜角)으로 갈고 다른 한 면은 편평하게 갈아 형의 인부(刃部)를 지닌 것이다. 양날돌도끼는 인부의 형태에 따라 직선으로 간 곧날돌도끼(直刃石斧)와 조개날돌도끼(蛤刃石斧)로 구분된다. 그리고 몸통의 단면형태에 따라 원통형 양날돌도끼와 네 각을 죽인 직사각형의 네모돌도끼(四稜石斧)로 구분된다. 대체로 양날도끼는 도끼의 용도로 쓰였으며‚ 우리 나라의 경우 신석기시대 중기부터 청동기시대에 걸쳐 한반도 전역에서 사용되었다. 외날돌도끼도 형태·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세분된다. 5∼10㎝의 대팻날처럼 편평납작한 석착류(石鑿類)와 길쭉한 도끼모양의 단인주상석부(單刃柱狀石斧)‚ 몸통 한쪽 면에 끈을 묶기 위한 홈을 파낸 홈자귀(有溝石斧)‚ 몸통 한쪽 면에 역시 끈을 묶기 위한 단(段)을 만든 턱자귀(有段石斧)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자귀와는 다른 특수한 용도로 쓰인 돌도끼로는 바퀴날도끼(環狀石斧)와 톱니날도끼(太頭石斧)가 있다. 바퀴날도끼는 북한학자에 의해 ‘달도끼’로도 불린다. 전체의 모습은 원반형이며 한가운데에 나뭇자루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 있고 양날 혹은 외날을 가지고 있어‚ 절단용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전투용 또는 지도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지휘용으로도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는 10∼15㎝ 내외이다. 톱니날도끼는 역시 북한학자에 의해 ‘별도끼’로도 불린다. 전체의 모습이 성게나 별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운데 구멍이 있고‚ 용도는 바퀴날도끼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두 종류의 특수한 용도의 석기는 청동기시대에 출현하여 철기시대의 시작과 더불어 소멸되었다. 본 박물관의 석부 3점은 모두 마제석부이다. 석부의 중간 부분을 칡뿌리 같은 것으로 졸라매고 나무 자루에 결박해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날은 양쪽에서 갈았고 측면의 석은 곡선이다. 형태는 위가 좁고 아래로 내려올수록 두껍고 넓어진 사다리꼴이며 석재는 단단한 화성암류이다. 외날돌도끼들은 신석기시대에는 뗀 면을 지닌 반마제(半磨製)의 대형 석착류가 사용되다가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크게 발전‚ 성행하게 된다. 한반도 전역에서 양날돌도끼와 함께 세트로 사용되면서 지역에 따른 특징적인 종류도 출현하게 된다. 대표적인 것이 턱자귀와 홈자귀이다. 턱자귀는 한반도 서북지방인 황해도와 평안도에서 많이 보이며‚ 홈자귀는 중서부지방의 대표적 석기로서 충청도지방에서 주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외날돌도끼들은 중국 신석기문화의 같은 종류의 석기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볼 때 양날돌도끼는 도끼로‚ 외날돌도끼는 자귀로 각각 사용되었다. 이 밖에 도끼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