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명기각종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명기각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명기는 귀기(鬼器) ·가기(假器)라고도 한다. `명기`라는 글자는 신명(神明)의 기(器)라는 뜻으로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죽은 후의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생활용구를 사자(死者)와 함께 분묘에 넣어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다. 무덤 속에 넣기 때문에 주로 흙을 구워 만들었다. 죽은 자가 생전에 사용한 기구 ·인물 ·동물 등을 모조한 것들이다. 조선시대에는 사람 ·말 ·항아리 등의 명기를 만들었다. 고래의 풍습인 순장(殉葬) 대신 명기를 부장한다는 뜻도 있어 이것을 묻으면 죽은이의 영혼이 위로를 받는다고 믿었다. 명기를 만드는 풍습은 조선 인조 이후에는 그 실례를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이 소형의 명기의 연대는 대략 16세기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모두 13점으로 회청백색(灰靑白色)이 감도는 백자유가 시유된 접시‚ 대접‚ 소호(小壺)‚ 완의 기형을 가진 백자명기들로 유약상태가 고르지 못하다. 문양은 시문되지 않았고 바닥은 편평하게 처리되었다. 흡사 어린이들의 소꿉장난감과 같은 느낌을 주지만‚ 죽은 사람에 대해 기록한 묘지(墓誌)와 함께 넣어지기 때문에 당시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