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기유개고배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기유개고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배는 삼국시대에 널리 유행한 제기로 굽다리접시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삼국시대‚ 특히 신라·가야지역에서 유행한 회청색 경질(硬質)의 두형토기(豆形土器)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양사오문화(仰韶文化)에서부터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무산 호곡동 유적에서 굽이 달린 그릇이 출현하고 낙랑의 왕광묘(?光墓)에서는 나무로 깎은 두(豆)가 나온다. 그러나 전형적인 굽다리접시는 3세기경 김해지방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뒤 경상도지역에서 다양한 변화를 보이면서 발전한다. 조기(早期)의 굽다리접시는 몸과 다리가 도중에서 한 번 꺾어진 것인데‚ 그릇 몸체의 단이 점점 위로 올라가 나중에는 테처럼 벌어지고‚ 다리도 나팔형 곡선으로 변한다. 처음에는 다리에 구멍이 뚫리지 않고 몸체의 테가 곧게 서면서 뚜껑받이로 변하며‚ 다리에 장방형 투공(透孔)이 생기면 본격적인 신라식의 굽다리접시가 된다. 전기에는 뚜껑이 있는 굽다리접시가 생기고 다리에 창이 없는 굽다리접시는 소멸된다. 뚜껑이 없는 굽다리접시는 납작한 몸체에 좁고 우아한 다리를 가지며 삼각투공이 길어진다. 다리바닥의 둘레가 이중의 굵은 테모양으로 되고 다시 테의 하반부가 안쪽으로 향해 경사지게 잘린다. 또 다리의 투창이 너무 커져서 네 개의 기둥만 남아 있는 듯한 사주식(四柱式) 다리도 이 시기의 특징이다. 중기에는 전기의 고졸(古拙)한 힘과 날카로움과 견고함이 후퇴하고 바탕흙이 고와지며 영락 등 장식이 화려해진다. 다리는 짧아지고‚ 위가 좁고 아래가 크게 벌어진 원추형인 것이 특징이다. 다리는 중간의 돌대 하나로 상하가 구분되며 하단의 창은 바닥에 접한다. 뚜껑받이는 전기의 뒤를 이어 안으로 기울고 높이는 낮아진다. 뚜껑무늬가 차차 톱니무늬와 원권문(圓圈文) 위주로 변하고 시문면적도 꼭지 주위로 축소된다. 서봉총(瑞鳳塚)·천마총(?馬塚)·금령총(金鈴塚) 등이 이 시기의 유적이다. 후기에는 정삼각형 또는 원추형의 다리와 거기에 뚫린 작은 구멍이 특징이다. 아직 뚜껑 있는 굽다리접시가 남아 있으며‚ 뚜껑받이가 낮아진다. 또한 꼭지 주변에 톱니무늬와 반권문대(半圈文帶)가 있기도 하고‚ 다리 중간에는 굵직한 두 줄기의 돌기가 있다. 통일기에는 뚜껑 있는 굽다리접시가 사라지고 뚜껑 없는 굽다리접시 뿐인데‚ 짧은 다리에 사발모양의 몸체가 얹히고 귀모양의 손잡이 두 개가 붙어 있다. 다리 구멍은 위아래 2단으로 각각 매우 작은 것이 뚫려 있으며‚ 뚜껑받이에 아직 뚜껑 있는 굽다리접시의 전통이 남아 있는 것도 있다. 본 박물관의 토기유개고배는 뚜껑이 있는 토제 고배이다. 다리바닥의 둘레가 이중의 굵은 테모양을 보이고 있어 삼국시대 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배신(杯身)에 1조의 돌대(突帶)가 3개가 형성되어 턱이 져 있다. 대각부(臺脚部)에는 상·하 각각 1조의 돌대(突帶) 사이로 상부는 사다리꼴의 투공(透孔) 4개가‚ 장방형의는 사다리꼴의 투공 6개가 서로 엇갈리게 뚫려져 있다. 사발을 엎어놓은 것 같은 뚜껑의 꼭지부분은 굵은 원기둥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면은 안으로 움푹 들어간 형태이다. 뚜껑의 표면에는 2조의 돌대가 1조를 이뤄 3개 돌려져 있으며 돌대로 구획된 3면에는 사선문양이 각 층마다 엇갈리게 새겨져 있다. 배신과 대각부의 표면은 대체로 거칠게 다듬어져 있으며 흑갈색을 띤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