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홍도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홍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홍도는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토기의 표면에 단(丹:酸化鐵)을 바르고 반들거리게 문질러서 굽거나 적색안료를 바른 토기를 말한다. 적색마연토기(赤色磨硏土器)라고도 부르며 중국의 홍도와는 다르다. 청동기시대의 고인돌과 돌널무덤에서 주로 발견되나 집터에서의 출토 예가 늘어나고 있다. 남해안지방에서는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도 단(丹)을 바른 토기가 출토된다. 바탕 흙은 점토에 석영과 장석 등의 굵은 알갱이가 섞인 것과 점토에 가는 모래가 섞인 것이 있다. 토기에 시문 된 무늬와 단을 바른 수법과의 관계를 보면‚ 빗금무늬(短斜線文)·문살무늬(格子文)·돋을점무늬(隆起點列文)는 단이 두텁고‚ 문살무늬 일부와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은 단이 얇다. 그릇형태는 반란형(半卵形)·독형(甕形)·사발형(燔形)이 주류를 이루고 항아리형도 있다. 청동기시대의 것은 고인돌·돌널무덤·집터 등에서 발견된다. 이제까지 홍도(紅陶)·단도마연토기라고 불려왔던 것은 청동기시대의 붉은간토기이다. 바탕흙은 모두 정선된 흙을 쓰고 있으며 그릇형태는 둥근바닥목항아리(長頸圓底壺) 외에도 납작바닥목항아리(長頸抹角平底壺)·바리·깊은바리·굽다리형이 있다. 제작수법은 테쌓기 또는 서리기를 써서 그릇의 모양을 만든 뒤에 물로 손질을 하거나 간단한 도구를 써서 그릇의 표면을 잘 다듬어 개방요(開放窯)에서 구운 것으로 보인다. 단(丹)은 물에 씻겨 쉽게 벗겨지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본 박물관의 홍도 역시 청동기시대의 것이다. 태토(胎土)가 고우며 기벽(器壁)이 얇아 매우 가볍다. 그릇의 형태를 보면 구부(口部)는 외반(?反)되어 있고 경부(頸部)에서 약간 줄어들었다가 점차로 확장되어 원저(圓底)를 이루고 있다. 마연(磨硏)된 표면에는 색깔이 벗겨진 부분이 많고 광택도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홍도는 소성전(燒成前)에 토기 표면에 산화철(酸化鐵) 등의 안료(顔料)를 바른 후 마연하여 소성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남한지방의 지석묘(支石墓)와 석관묘(石棺墓)에서 출토되는데 부장용(副葬用)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