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모님과 아기예수

추천0 조회수 298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모님과 아기예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벽화나 모자이크‚ 목판 등에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성인‚ 천사 또는 그리스도교 신앙의 신비들을 그린 그림. <유래 및 발달과정> 그리스도교에서 이콘화는 구약성서·신약성서 및 이를 보족(補足)하는 외전(?典) 및 성인전(聖人傳)을 전거(典據)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초기 초대교회 시대에는 죽은 영혼의 구원(救援)을 기구(祈求)하는 것을 도상에 의탁하였다 할 수 있고‚ 4세기의 ‘교회의 승리’ 이후에는 신(神)인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성스러운 우주의 영광을 구체적으로 나타냄과 동시에 도상으로써 민중을 교화(敎化)하려는 목적으로 급속하게 발전하였다. 또한 5세기 전반에 성모가 ‘신의 어머니’로서 공식으로 인정된 이래‚ 성모 관계의 도상도 발전하여 갔다. 6∼7세기경까지는 ‘그리스도의 승리’와 성모의 영광을 찬미하는 도상은 많았으나‚ 수난(受難)에 관한 것은 거의 없었다. 10세기에 이르러서야 동·서 그리스도교 사회에서 수난에 관한 도상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십자가에 못박힌 그리스도’ ‘성모의 탄식(피에타)’ 등의 도상화가 점차 늘어나고‚ 이러한 현상은 고딕 말기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여 다시 바로크 미술로 이어졌다. 전체적으로 보아서 그리스도교의 이콘화가 정점(頂點)에 이른 것은 로마네스크 및 고딕 시대(특히 12∼13세기)로‚ 신이 지배하는 초자연 및 자연의 모든 질서가 도상화되었다. 그것은 신의 보좌인 천계(?界)로부터 인간 및 동물이 사는 지계(地界)에 이르는 공간의 질서뿐만 아니라 천지창조가 비롯되는 구약시대로부터 신약시대‚ 이에 이어지는 성인시대(聖人時代)‚ 나아가 미래의 ‘최후의 심판’에 이르는 장대(壯?)한 역사의 질서가 표현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교 사회에서 이런 도상표현이 긍정되어 온 것은 아니다. 예배의 대상을 도상으로 표현하고‚ 이것을 숭배한다는 것은 구약시대 이래 우상숭배라 해서 금해 왔는데‚ 이러한 전통은 초기 초대교회 때부터 종종 표면화된 형태로서 존속되어 왔다. 비잔틴 사회에서 있었던 8∼9세기의 성상파괴운동(聖像破壞運動)은 이러한 전통의 과격한 표현이며‚ 그 후 동방(東方) 그리스도교 사회에서도 환조(丸彫)의 종교상(宗敎像)은 그 3차원적 실체성 때문에 부정되어 왔다. 유럽에서는 성(聖) 베르나르두스(1091∼1153) 및 그 교리를 계승한 시토수도회(修道會)에서는 도상을 부정하는 경향이 강하였고‚ 근대에도 16세기 이후의 프로테스탄트 각파가 도상미술에 대해 부정적 또는 소극적이었으며‚ 현대의 추상파 종교미술 작가들도 이러한 경향을 계승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럼에도 초대 교회 시대 이래 도상미술은 있었다. 그러기 때문에 특유한 이콘과 벽화가 발달하였으며‚ 14세기에 모스크바가 러시아의 수도가 된 후에도 회화미술의 주도권을 계속 잡고 있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14∼15세기의 최성기에 활약한 테오파네스 정도만이 알려졌을 뿐이다. 끊임없이 발전하여 왔다. <일반적 형태‚ 특징> 가로 14.5cm‚ 세로 19.3cm 본 소장품은 노브고로트 화파풍의 이콘이다. 아기예수가 성모의 팔에서 몸을 곧게 세운 채 한 손으로 강복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아기예수의 몸은 성모를 향하고 있고‚ 성모 역시 몸을 곧게 세우고 아기예수를 향해 있다. 성모의 한 손이 아기예수를 가리키고 있는데‚ 이것은 <인도자 성모>와 비슷한 자세이다. 모서리 부분이 훼손되어 있다. <참고> 노브고로프화파 : 중세 말기부터 러시아의 노브고로트를 중심으로 융성하였던 비잔틴 회화의 일파를 뜻한다. 당시 노브고로트는 일종의 자유도시로서 서유럽과의 교류가 성하여 이 일대의 문화 센터와 같은 구실을 하고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