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체포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체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미사 중에 성작‚ 성반‚ 성합을 올려놓는 사방 50cm 이내의 흰색 아마포로 만들어진 전례 용구. <유래 및 발달 과정/역사> 성체포는 성작 덮개와 함께 초기의 긴 제대포에서 유래되었다. 제대포와 성체포가 구분 없이 사용된 4세기에는 제대 전체를 덮을 만큼 큰 것이었다. 카롤링거 왕조 시대에는 몇 개의 제대포가 사용되었는데‚ 세 개의 아마포 제대포와 성작까지 덮는 용도의 한개의 성체포(palla corporale)가 있었다. 이 성체포는 제대위에 놓인 성작과 성체를 덮던 것이었다. 1000년경 이후부터 성체포는 제대포와 구분하여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크기도 점차 줄어 중세 말부터는 오늘날의 성체포와 비슷한 크기가 되었다. 또 성작을 덮는 용도로 사용되었던 성체포는 두 번 접어 성작 덮개로 사용되다가 지금의 성작 덮개가 따로 구분되자‚ 17세기부터는 현재 용도의 성체포로 정착되었다. 그 후에도 많은 나라에서는 두개의 성체포를 사용했으며‚ 가르투지오회에서는 아직도 성작을 덮는 용도로 큰 성체포를 사용하는 관습이 남아있다. 중세 때에는 성체포를 불속에 던지면 불을 끌 수 있다는 대중 신심이 있었다. 그러나 1022년 젤리겐슈타트(Seligenstadt) 교회 회의에서는 사제들이 성체포로 불을 끄는 이러한 신심행위를 날카롭게 비판하고 금지시켰다. 또한 병 특히 눈병을 낫게 한다는 신심이 신자들 사이에 만연하기도 하였는데‚ 사제가 입당할 때나 퇴장할 때 성체포를 들고 신자들을 향해 부채질을 하기도 하고 부유한 사람들은 미사 후에 헌금을 내고 성체포를 얼굴에 대기도 하였다. 동방 교회에서는 제대 위를 덮던 ‘에일레톤’(ειλητον)이라는 큰 천이 서방 교회의 성체포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예수가 매장될 때 머리 주변에 펼쳤던 천을 상징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동방 교회에서는 이 ‘에일레톤’과 ‘안티멘시움’(antimensium)이라는 성체포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안티멘시움’은 아마포로 제작되고 예수의 수난과 매장을 그린 장식이나 순교자의 유해를 담고 있으며‚ 9세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반적 형태‚ 특징> 가로 : 46cm‚ 세로 : 41.5cm 성체포는 성찬 전례 중에 떨어질지도 모를 성체조각들을 쉽게 모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세 번 접을 경우 천의 중앙이나 아랫부분의 중앙에 수놓은 십자가가 나오도록 되어 있다. 성체포는 질이 좋은 천을 이용하여 아름답고 정성스럽게 만들어진 것이어야 하며‚ 빳빳함을 계속 유지하도록 풀을 먹인다. 본 수장품은 흰색의 면직물로 제작되었으며‚ 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다. 홍색 실로 중앙에 후광을 둘러 문양대를 구획한 후‚ 그 안에 십자가와 결합한 IHS문자를 수놓았다. 가장자리에 레이스를 부착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