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성작(聖爵)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성작(聖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전례용구의 하나로 미사 중 성찬전례 때 포도주를 봉헌하고 성혈로 축성된 후 받아 모시기 위해 사용되는 축성된 잔. <유래 및 발달과정/역사> 모든 전례 용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성작은 성서에 유일하게 언급되어 있는데 예수는 제자들에게 “당신들도 내가 마시는 잔을 마실 것”이라고 하였으며(마르코 10:39)‚ 최후의 만찬 이야기에서도 예수가 제자들에게 “내 계약의 피를 마셔라”고 한 포도주를 담은 잔이 나온다(마르코 14:23-24‚ 루가 22:17-18‚ Ⅰ고린도 11:25) 또 게쎄마니에서 예수는 “이 잔을 저에게서 거두어 주소서”라고 기도하였는데(루가 22:41‚ 마태 26:42‚ 마르코 14:36)‚ 이 모든 성서구절들이 하나로 모아져 현재 성찬 전례에서 성변화를 위한 기도로 사용되고 있다. 전례용 성작은 고대의 술잔에서 변형‚ 발전되었다. 초기 교회 때 사용된 성작은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카타콤바에 그 당시의 성작이 묘사되어 있으며‚ 테르툴리아노의 작품에도 성작을 의미하는 라틴어 ‘calix’가 언급되어 있다. 현재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성작은 500년경의 것으로 예술적 문양이 뛰어난 비잔틴식의 ‘안티오키아 은 성작’(뉴욕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소장)이다. 6세기 경에는 넓은 잔과 그것을 받치는 깔대기 모양의 받침과 중간 마디가 있는 대로 구성된 성작의 고전적인 형태가 정착되었다‚ 또 7-8세기 이후에는 마실 때 편리하도록 주둥이가 달린 커다란 성작들이 등장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신자들이 성체성사 성작에 직접 입술을 대고 성혈을 받아 모실 때 흘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12세기에는 큰 잔 형태의 성작이 나타나고 13세기부터는 성작에 부착된 손잡이가 점차 사라지면서 중간 마디의 대 부분이 손잡이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다. 14-15세기의 성작은 고딕식의 가늘고 긴 형태로‚ 깔대기 모양의 잔과 고딕식의 꽃잎 문양이 양각되어 있는 받침 부분과 십자가가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후 17-18세기 즉 바로크 시대에는 컵 모양의 잔 부분과 금은 세공이나 상아를 박아 넣는 세공법을 이용해 장식한 대 부분 그리고 무겁고 튼튼한 받침 부분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성작은 고대의 성작처럼 크고 장식없이 단순한 술 잔 모양으로 제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잔 부분이 강조되면서 중간 마디 부분은 보다 깨끗하고 조화로운 선을 유지하기 위해 사라지는 추세이다. 재료를 살펴보면 초기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나무로 성작을 만들어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유리로 된 것도 사용하였다. 초기 교회와 중세기 전반에 걸쳐 성작은 유리‚ 나무‚ 전에 반드시 축성하여야 한다. (전체높이 21.2cm‚ 입지름 10.2cm‚ 밑지름 11.6 cm) 금속 성작으로 금도금으로 처리하였으며 잔‚ 대‚ 받침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잔은 뒤집힌 종 모양으로 구연부 아래 바깥쪽 면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 대는 아래로 갈수록 굵어지는 6각기둥 형태로 가운데 부분에 볼록한 6각 고리를 끼운 모양이다. 받침은 가운데 부분이 융기된 6각형으로 사다리꼴 6개가 대에 붙어있는 형태이며 받침 상단에 음각으로 그리스식 십자가 장식이 있다. 전체적으로 현대적이고 직선을 강조한 형태이다. <참고> 성작의 종류 : 성작은 초기 교회 때부터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되었다. ① 성찬 전례 때‚ 포도주를 봉헌하고 축성하는 데 사용한 ‘축성 성작’ 혹은 ‘사제들의 성작’(calix sanctus). ② 축성된 성혈을 신자들에게 나누어 주는 데 사용한 ‘성체성사 성작’.(calix ministerialis) 이성작은 성체와 성혈을 다 받아 모시는 양형 영성체가 금지된 13세기경에 사라졌다. 로마의 미사 경본에서는 신자들이 성작으로 직접 성혈을 받아 마시는 것을 금하였지만‚ 일부 교회에서는 축성되지 않은 포도주를 신자들에게 나누어 주는 관습이 그 후에도 계속되었다. 오늘날 시리아 동방 교회와 아비시니아 교회에서는 이 영성체 전통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③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잔’이라는 뜻의 ‘스치푸스’(scyphus). 이것은 4-6세기에 축성 성작을 지칭하는 용어였으나 그 후 성체 배령자들을 위해 마련된 커다란 그릇을 뜻하게 되었다. ④ 전례서에 자주 나오는 ‘crater’‚ ‘poculum’‚ ‘fons’도 성작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⑤ 특별히 대사를 받을 수 있다고 지정된 미사에서 사용한 성작(calix stationarius). ⑥ 신자들이 봉헌하는 포도주를 담았던 ‘봉헌 성작’(calix offertorialis). ⑦ 세례성사와 함께 거행되는 미사에서 사용된 세례를 위한 성작 (calix ad baptismum). ⑧ 비교적 덜 화려한 ‘통상 성작’(calix quotidianus). ⑨ 일반적으로 크기가 6-9cm정도로 작고 조립이 가능한 ‘노자 성체용 성작’(calix viaticus). ⑩ 중세 후기에 주교나 사제들의 무덤 안에 놓아두었던 ‘묘 성작’(calix sepulcrum) ⑪ 장식용으로 제대 위에 놓아두었던 사용이 유보되거나 정지된 성작(calix suspensorius‚ calix pendentilis). 카롤링거 왕조 시대 이후 미사에 주로 사용된 것은 사제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축성 성작과 신자들의 성체성사를 위해 사용한 구리‚ 청동‚ 수정‚ 마노 등 여러 가지 재질로 제작되었으나 콘스탄틴 대제 시대에 이르러서는 금이나 은으로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1310년 트리어 교회회의에서 모든 교회는 적어도 은으로 된 성작과 성반에 도금을 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였으나 1969년 이후부터는 재정이 어려운 경우에 다른 재료를 허용하고 잔의 안쪽만 도금하도록 지시를 내렸다. <일반적 형태‚ 특징> 성작은 윗부분의 잔과 중간 마디가 있는 대‚ 그리고 받침 이렇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금‚ 은‚ 구리‚ 주석‚ 청동 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잔의 안쪽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을 한다. 쉽게 깨어지거나 수분을 흡수하거나 썩는 재료로 만들어서는 안 되며 대는 단단하고 품위 있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성작은 사용 성체성사 성작이었는데‚ 지금은 미사 때 사제만이 사용하는 축성 성작을 지칭하는 의미로 고정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