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물조각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물조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수미산을 상징한 수미좌가 불단으로 발전된 것을 수미단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불단을 수미단이라고 하는 것은 장방형의 수미단이 불단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이기 때문으로 우리나라의 불단은 거의 수미단 형식을 취하고 있다. 모조 수미단은 불교장엄목공예에서 가장 중요한 공예품의 하나이다. 사원 건축물을 새로 지을 때에는 대목들이 주로 주관하고 있으나 닷집이나 단을 장엄할 때는 섬세한 세공기법을 가진 소목들이 일상적인 가구형태의 모양으로 제작했다. 그러나 시대에 따라‚ 장인의 솜씨나 기법에 따라 짜임의 형태를 조금씩 변형시켜 왔다. 불단에 사용한 목재는 다양하여 무늬가 선명한 춘향목이나 붉은 빛이 나는 홍송이나 결이 강한 느티나무 등을 사용했다. 수미단은 수미산을 상징한 것이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수미산을 상징하는 도상들과 문양이 새겨지는 조각기법이 쓰이는데 그렇다고 모든 수미단이 수미산을 상징하는 동식물만이 조각되는 것은 아니다. 조각기법을 살펴보면 제일 많이 나타나는 것은 투각기법이다. 투각기법은 어느 일정한 모양의 주된 형태만 조각하는 기법이다. 부분적으로는 음각‚ 양각‚ 부조기법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수미단은 보통 장방형의 가구 모양으로 상단과 중단‚ 하단으로 구분한 다음 직사각형의 칸 속에 연화문이나‚ 안상문‚ 구름문‚ 만(卍)자문을 반복적으로 새겨 넣어 간결하고 단순하게 조성한다. 이러한 불단에 조각되는 형상은 위와 같은 무늬를 보다 기하학적으로 추상화시킨 것에서 부터 꽃잎을 섬세하게 조각하여 꽃 공양의 의미를 담으려 한 것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수미산을 상징하는 불단이 다른 어느 것보다 장엄하게 제작되는 것은 수미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세간의 온 중생들이 모든 부처님을 찬탄하기 위함이다. 조각한 부분 위에는 화려하게 장엄하기 위하여 담채기법이나 단청기법으로 채색하는 것이 보통이며 부분부분에는 순금가루를 어교나 아교에 적당히 배합한 세필의 금선으로 그리기도 했고 옷칠 위에 순금박을 한 표현도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또한 조각부분을 제외하고 제물을 올리는 상단‚ 중단‚ 하단 부분은 옷칠을 하기도 아였다. 수미단에 조각되는 많은 형태의 동식물들은 기본적으로 수미산에 있을 법한 동식물들이 주류를 이룬다. 수미단은 때로는 육각형태와 팔각형태로 조성되기도 한다. 수미단 중 수미산의 의미에 충실하면서 장식조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불단은 통도사‚ 파계사‚ 은해사 백흥암‚ 남장사 등의 것들이 있다. 이 불단들은 물속의 세계‚ 땅위의 세계‚ 하늘의 세계의 동식물에서부터 상상동물에 이르기까지 독특하고 다양한 형태의장식조각불단을 이루고 있다. 투각된 수미단 장식 조각이다. 조각된 스님은‚ 우측을 향해 상체를 낮추고 두 팔을 앞으로 내밀어 무언가를 받들고 있는 듯한 자세를 하고 있다. 배경에는 소나무가 조각되어 있으며‚ 좌측상단에는 붉은색‚ 푸른색‚ 황색‚ 녹색의 구름이 겹쳐져 장식되었다. 불교적인 교리와 불심이 일어나게 하는 실용성과 함께 장엄이 더하여 한층 섬세하고 화려해 보인다. 불교 장엄목조각의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불단의 장식조각은 길상 동물이 등장하여 불교적 소재인 연꽃문양과 어우러지면서 독특한 아름다움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사찰의 벽화나 탱화 공포장식‚ 문창살 등에 나타나는 연꽃과 다른 도상이 조화된 형태보다 훨씬 사실적인 아름다움을 전해주고 있다. 또한 불교가 세속화하는 과정에서 민간 신앙을 흡수하여 길상을 나타내는 동물이 표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불교의사상과 민속적인 신앙이 접목된 예로서 불단은 불교목공예 가운데서 대표적이라 말 할 수 있다. <상세설명> 붉은색의 승복을 입은 스님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