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디딜방아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디딜방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벼 ·보리 등의 탈곡을 주목적으로 하는 농업기계. <일반사항 및 특징> 특수한 것으로 땅콩탈곡기 ·옥수수탈립기 등이 있다. 탈곡방법은 작물의 종류나 농업의 발달 정도에 따라 다르다. 옛날에는 두 나뭇가지의 한 끝을 동여매어 집게 비슷하게 만든 것에 벼이삭을 끼우고서 훑는 벼훑이를 사용하였고‚ 회전식 탈곡기가 도입되기 전까지는 납작한 쇠못을 나무판에 촘촘히 박고 그 사이에 벼이삭을 끼워서 훑는 그네를 사용하였다. 콩이나 팥 등은 마당에 널어 건조시킨 후‚ 긴 장대 끝에 구멍을 맞뚫고 그 구멍에 가는 막대를 가로 박아서 돌게 한 다음 그 막대 끝에 2‚3개의 회초리를 달아 휘둘러가며 내리치는 도리깨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작업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수고를 덜기 위한 연구 끝에 벼의 탈곡용으로 족답식(足踏式) 탈곡기가 발명되었고‚ 현재는 동력회전탈곡기뿐만 아니라 베는 동시에 탈곡 및 선별작업까지 하는 능률적인 콤바인이 사용되고 있다. 탈곡기는 동력에 따라 인력식(人力式)과 동력식으로 분류할 수 있고‚ 짚공급방식에 따라 수급식(手給式) ·자동공급식 ·투입식으로 분류되며‚ 급동(扱胴)의 수와 공급위치에 따라 단동식 ·복동식‚ 배진장치에 따라 반자동식 ·자동식으로 분류된다. 인력탈곡기는 보통 족답탈곡기라고 하는데‚ 인력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므로 힘이 많이 드는 것이 단점이며‚ 탈곡손실이 많고 선별장치가 없다. 동력탈곡기(자동탈곡기)의 구조는 급동을 중심으로 하는 탈곡장치와 풍구를 중심으로 하는 풍선장치(風選裝置)가 주요 부분인데‚ 이것에 볏단의 자동공급장치와 탈곡된 벼 낟알을 내보내는 장치를 갖춘 것도 있다. 급등에는 역 V자 모양의 급치(扱齒)가 많이 꽂혀 있는데‚ 이것을 회전시켜 가면서 급치에 벼이삭을 갖다대어 벼알을 떨어뜨린다. 수망(受網)에 떨어진 벼 낟알이나 볏짚은 풍구에 의해 풍선되어 무거운 벼 낟알은 1번구로‚ 가볍고 불완전한 벼 낟알은 2번구로‚ 볏짚은 3번구로 배출된다. 한편‚ 옥수수는 손으로 탈립(脫粒)하거나 도리깨 같은 것으로 탈립하였으나 근래는 옥수수탈립기가 개발되었다. 더욱이 옥수수 수확기와 탈립기를 겸비한 특수 콤바인이 사용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