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부채(뱃사공)

추천0 조회수 9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부채(뱃사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단선- 자루가 달린 둥근부채‚ 원선 이라고도 하며 방구부채라고도 불리운다. <일반사항 및 특징>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는 일찍부터 부채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서양 사람들은 동양에서 건너간 부채를 진주 ·비단 등과 함께 매우 귀중한 물건으로 여겼다. 특히 접부채[摺疊扇]는 극동(極東)의 명품으로‚ 일본에서는 7세기부터 사용하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송(宋)나라 때 접부채가 처음 만들어졌고 명(明)나라 때 유행하였다. 이른바 당선(唐扇)이라 부르는 것으로‚ 부챗살로 대[竹] 이외의 백단(白檀) ·흑단(黑檀) ·상아(象牙) 등을 사용하고‚ 금 ·은을 장식한 부채가 등장하였다. 15-16세기경부터 서양인의 동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역(交易)의 물결을 타고중국의 부채가 유럽에 알려졌다. 그후 17세기에는 프랑스의 파리를 중심으로 부채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유럽에서 부채가 전성기를 맞은 것은 18세기부터이며‚ 여성의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장식품이 되었다. 상아 ·진주조개 ·비단 ·양가죽 등을 사용한 부채에 여러 가지 풍속도를 그려넣은 것들이 인기를 끌었다. 특히 브리제라고 하는 노송나무 모양의 부채를 좋아했다. 19세기 초에는 한때 접부채가 부활했으나 그 뒤 점차 쇠퇴하고‚ 인쇄한 부채가 등장하였다. 한국에서는 가는 대오리로 살을 만들고‚ 종이 또는 헝겊을 발라 부채를 만들었는데‚ 가장 질이 좋은 부채는 전북 전주‚ 전남 남평 ·나주 등지에서 나는 부채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