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고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금고는 절에서 대중을 집합시킬 때 쳐서 소리를 내는 도구로‚ 쇠북이라고도 하며 얇은 북 혹은 징과 같은 형태이다. <상세설명> 사찰의 종루나 당(堂) 앞 처마 밑에 걸어두고 쳐서 울리는 불구의 하나. 금구(金口)‚ 반자(飯子)‚ 정고(鉦鼓)라고도 한다. 금고는 금속으로 만든 북으로 <현우경(賢愚經)> 권10에 의하면 “만일 동고(銅鼓)를 치면 8억의 사람이 모이고 은고(銀鼓)를 치면 모든 사람이 다 모인다”고 한다. <대당서역기(?唐西域記)> 권 4에도 “금고를 한 번 울리면 네 사람이라도 일어서서 적을 생포한다”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금고는 사람을 모이게 하거나 전쟁을 시작하는 신호로 사용되었던 것 같다. 형태는 징과 같은 모양으로 한 면은 두드리는 부분이고 다른 면은 구명이 뚫려 있는데 안은 텅 비어 있다. 중앙에는 연화문의 당좌(撞座)가 있고 그 주위로 보상화문과 당초문이 새겨져 있으며 측면에 명문(銘文)을 음각한 예도 있다. 또한 위쪽에는 매달기 위한 2개의 고리가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청동‚ 금‚ 은‚ 철 등으로 만들어지나 청동이 가장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함통 6년명 금고(865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가 유일하게 남아 있으나 대부분은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대정 19년명 금고(1179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옥천사 임자면 금고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