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피리

추천0 조회수 14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피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좁게는 국악기 중의 향필률(鄕챌:향피리)·당필률(唐피리)·세필률(細피리) 등을 가리키기도 하나‚ 넓게는 곧은 일자 모양의 대에 구멍을 뚫고 입으로 불어 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국악기나 서양악기‚ 또는 세로나 가로로 부는 악기를 구별하지 않고 통틀어 피리라고 부른다. <설명> 세 개의 지공(指孔)으로 반공(伴孔)을 막고 여는 연주법을 써서 십이율(律)을 내는 약()이라는 국악기로부터 열 개가 넘는 지공을 아홉 손가락으로 여닫아 반음까지도 연주할 수 있는 서양악기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모양·음색·조(調) 등은 실로 다양하다. 피리는 또한 그 연원이 매우 오래된 악기로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에 의하면‚ 삼한시대부터 방울[鈴]·북[鼓]·거문고·피리[笛] 등의 네 가지 악기가 주로 종교상의 필요로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삼한시대의 고분에서는 질흙을둥글게 뭉쳐 만든 피리가 많이 발굴되었는데 이것을 일본에서는 아메노이와부에[?磐笛]라 하여 신대(神代)의 악기라고 하였다. 또한 일본에서는 한국 고대의 피리를 가져가 이를 고마부에[高麗笛]라고 하였는데 이것으로도 옛날 한국에는 여러 가지의 피리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유사》에도 통일신라 때 거문고와피리의 두 가지 신기한 악기를 국가의 제천고(祭?庫)에 비장(秘藏)하여 왔다는 기록이 있어‚ 이 악기는 필시 그 이전부터 신앙적으로 전승되어 온 신물(神物)이었을 것이다. 피리는 시대를 거듭함에 따라 그 나라 민족의 정서와 풍속·전통에 맞도록 개량·발전·보급되어 왔으며‚ 향토적이고 단순한 한국의 버들피리를 비롯하여 어떠한 조나음률의 곡이라도 연주할 수 있는 복잡하게 장식된 서양의 플루트나 리코더 등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가 실로 다양한 악기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