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추천0 조회수 7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국악기로써 금부에 속하는 타악기이다. <설명> 금(金) ·금징(金鉦)이라고도 하며 대금(?金)과 같은 악기이다. 크고 둥근 놋쇠판에 끈을 달아 끝을 헝겊으로 감은 채로 쳐서 소리를 내는데 웅장하면서도 부드러운 음색을 가졌다. 본래 중국 상고시대부터 사용하였으며 한국에는 고려 때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확실한 유입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처음에는 북과 함께 군중(軍中)에서 신호악기로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취타(吹打) ·불교음악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무속음악(巫俗音樂) ·농악 등 매우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징은 특별히 종묘제례악에 쓰일 때는 대금이라 부른다. 징의 크기는 대략 지름이 약 36cm‚ 둘레의 높이는 10cm이며‚ 징의 쇠 두께는 3mm 정도이다. 징은 장단을 바르게 쳐주는 것이 중요하며‚ 사물의 가락(쇠‚ 장구‚ 북‚ 소고)을 모두 감싸서 멀리 울려 퍼지게 한다. 풍물굿 악기 가운데 가장 은은한 소리를 내며 포용력이 있는 악기라 할 수 있다. 징을 칠 때는 징 채를 짧게 잡고 징의 한가운데를 부드럽게 밀듯이 쳐야 소리가 되바라지지 않고 웅장한 소리를 낸다. 징은 연주가 다양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나 바로 그런 이유로 발림이 다양하고 여유가 있어 춤으로 신명을 표출하기가 좋다. 징을 치는 횟수에 비해 그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징이 정확한 박으로 제대로 받쳐 주지 못하면 다른 치배의 장단이 어지러워지고 불안하며‚ 장구나 쇠‚ 북 모두가 제 기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옛날에는 징을 나무틀(ㅏ자모양)에 걸고‚ 그 나무틀을 왼쪽 몸에 대고 끈으로 묶어서 다니기도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