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향로(해치장식)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향로(해치장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향로는 향을 피우는 그릇을 말하며 제례의식에 사용된다. <설명> 훈로(薰爐)라고도 하며‚ 예로부터 악취를 제거하고 부정(不?)을 없애기 위하여 향을 피우는 풍습은 여러 곳에서 행하여졌다. 헤브라이인(人)이 신전(神殿)에서 향로를 사용하였고‚ 솔로몬왕이 향로를 만들었다는 전설은 구약성서에도 보이며‚ 가톨릭교에는 지금도 이 전통이 있다. 인도에서는 4‚000년 전의 유적에서 향로로 추정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불교에서는 부처를 공양하기 위하여 소향(燒香)하고‚ 밀교(密敎)에는 향로를 들고 있는 금강향보살(金剛香菩薩)과 향로로 형태를 표현한 삼매야형(三昧耶形) 등이 있다. 그러나 향로가 가장 성행한 곳은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 등이다. 중국에는 전국시대부터 진(秦) ·한(漢)에 걸쳐 동제(銅製) ·도제(陶製)의 박산향로(博山香爐)가 있으며‚ 남북조시대에는 도학(道學)의 행도(行道)에 쓰는 자루가 달린 병향로(柄香爐)가 발명되어 수(隋) ·당(唐)에까지 미쳤다. 당대에는 뚜껑이 보주형(寶?形)이고 불접시의 운두가 낮은 금동 또는 삼채(三彩)의 화사향로(火舍香爐)를 만들었다. 송대(宋代) 이후에는 옥(?) ·석(石) ·자(磁) ·동(銅) ·철(鐵)의 정형(鼎形) 향로‚ 통형(筒形)향로 등을 만들었다. 한국은 주로 청자 향로를 만들었으며‚ 고려시대 금산사(金山寺) 향로는 일본에 전해져 이것을 본뜬 긴상사[金山寺] 향로가 만들어졌다. 현전하는 향로로 청자사자유개향로(靑瓷?子蓋香爐:국보 60‚ 국립박물관)‚ 청자기린유개향로(靑瓷麒麟蓋香爐:국보 65‚ 간송미술관) 등이 있으며‚ 그 밖에 많은 향로가 전해진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