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원사 제석탱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원사 제석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및 설명> 불교 탱화의 하나. 불교의 수호신인 제석천(帝釋?)을 묘사한 불화(佛畵)이다. 원래 제석천은 불교의 호법선신 중 하나로 신중탱화 속에 다른 신들과 함게 묘사되고 있었다. 그러나 제석이 따로 독립 탱화로 봉안되게 된 것을 우리 고대의 제천신앙(祭?信仰)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고대의 우리나라에서는 천신(?神)과 제석의 습합이 이루어졌고‚ 농업국으로서 풍년을 기원하는 제천의식이 끊임없이 행하여져 왔다. 여기서 호법신으로서의 신중신앙에서 제석신앙이 독립신앙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맞게 되었다. 여기서 호법신으로서의 신중신앙에서 제석신앙이 독립신앙으로분리되는 과정을 맞게 되었다. 이 탱화는 제석을 중앙에 두고 좌우에 바수루나천자 와 이사나천자‚ 그 주위에 32천왕(??)이 묘사된다. 이 경우‚ 무장을 하지 않은 보살이나 왕의 모습만으로 표현되는 것과 무장을 한 모습의 신중들까지 함게 표현되는 경우도 있다. 대로는 제석과 범천(梵?)을 함께 묘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어디까지나 제석이 중심이며‚ 범천은 두번재로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현존하는 제석탱화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양산 통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것을 비롯하여 대구 파계사 설선당(說禪當)에 있는 탱화‚ 송광사의 신중탱화 등을 둘 수 있다. <화면 설명> 화면 중앙부에 합장을 한 제석천이 걸터앉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그 자우에 다섯 인물식을 배치함으로써‚ 기본적 구도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시동들이 들고 있는 번의 묘사나 구름의 묘사에서도 좌우대칭을 의식한 듯한 모습을 충분이 엿볼 수 있다.) 제석천의 합장한 손은 향좌측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다.(정면 묘사의 어려움 때문인지‚ 합장한 손을 강조해 보이기 위한 것인지 눈에 띄는 점이다.) 그 밖의 권속과 동자나 시녀들의 구도는 제석천을 중심으로 삼단구도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석천을 제외한 인물들의 표현이 다소 만화적인 모습을 띄고 있다. 맨 아랫단의 인물들은 홀을 들고 있으며‚ 두번째 단의 인물들은 두루마리를 지물로 들고있다.(화면 좌측-녹색 두루마리‚ 화면 우측 - 붉은색 두루마리) 화면 상단부에는 구름을 그려넣었는데‚ 구름의 묘사 방법은 먼저‚ 황색계열로 구름을 그리고‚ 그 테두리 선을 따라 붉은색과 녹색등으로 변화를 주며 입체감을 살리고 있다. 제석천은 보관을 쓰고 있으며‚ 하늘색 계열의 대의를 착용하고 있다.(대의부분의 박락이 심하다.) 옷에는 문양이 없고 대체적으로 단순하며‚ 옷주 주름선은 먹선으로 위에 그려 넣은 부분과 밑그림에서 되비치는 경우‚ 두가지 방법을 병행한 듯 하다. 색채는 주로 적‚ 녹‚ 백색 계열이다. 화면은 3폭을 잇대어서 만들었고(화면 좌측으로부터 12.5‚ 41.7‚ 13.6)‚ 화면 하단부 중앙에 다소 박락 흔적이 있다. 하단부에는 붉은 바탕에 먹으로 씌여진 화기가 있는데(4.5 × 38) 다소 손상되어 있으며‚ 가독 글자로는 가경6년‚ 신유9월 ○ 안사 안동읍 대원사 등이다. 화면 우측 상단부에는 다섯개 가량으‚ 못구멍으로 보이는 흔적이 있다. 다른색에 비해 하늘색 계통의 박락이 심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