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심우도

추천0 조회수 24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심우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동자(童子)나 스님이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묘사한 불교 선종화(禪宗畵). <상세 설명> 본래 도교의 팔우도(八牛圖)에서 유래된 것으로 12세기 중엽 중국 송나라 때 확암선사(廓庵禪師)가 2장면을 추가하여 십우도(十牛圖)를 그렸다. 도교의 팔우도는 무(無)에서 그림이 끝나므로 진정한 진리라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청거(?居)선사가 처음 그렸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모두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소는 인간의 본성에‚ 동자나 스님은 불도(佛道)의 수행자에 비유된다. 중국에서는 소 대신 말을 등장시킨 시마도(十馬圖)가‚ 티베트에서는 코끼리를 등장시킨 시상도(十象圖)가 전해진다. 한국에는 송(宋)나라 때 제작된 확암본과 보명(普明)본이 전해져 2가지가 조선시대까지 함께 그려졌는데 현재는 보명본보다 확암본이 널리 그려진다. 확암본과보명본은 용어와 화면 형식이 달라서 확암본은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원상(圓相)안에 그림을 그리는데 보명본은 10번째 그림에만 원상을 그린다. 보명본의 심우도는 10개의 장면이 거의 유사하나 용어가 다르다. 보명본의 용어는 ①미목(未牧)‚ ②초조(初調)‚ ③수제(受制)‚ ④회수(廻首)‚ ⑤순복(馴伏)‚ ⑥무애(無碍)‚ ⑦주운(住運)‚ ⑧상망(相忘)‚ ⑨독조(獸照)‚ ⑩쌍민(雙泯) 이다. 중국의 이숭(李嵩)‚ 일본의 슈분[周文] 등의 《심우도》가 있으며 한국에는 송광사를비롯한 사찰에 벽화로 남아 있다. <화면 설명> 화면 왼편에 소가 서 있고‚ 화면 오른편 풀밭에는 배를 드러낸 소치는 사람이 낮잠을 자고 있다. 오른편 끝에 버드나무 가지와 뿌리가 표현되어 있다. 수묵의 바탕에 일부 채색이 되어 있는데 채색은 유화 물감을 이용하였다. 상단 오른편에 판독하기 어려운 글자와 낙관이 찍혀 있다. 접혀졌던 부분에 약간의 파손이 있고‚ 얼룩과 곰팡이가 있다. 작은 종이 조각을 여러 겹 배접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