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민화

추천0 조회수 8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민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윤리문자도는 한자 자체가 지니는 조형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자가 지니고 있는 조형성이란 허신(許愼)이 《설문해자 說文解字》에서 말한 상형(象形)의 개념과 통하는 것으로써‚ 상형은 문자 제작의 최초 단계인 회화법을 말한다. ‘효제충신예의염치’ 등의 여덟 문자를 소재로 하고 있는 윤리문자도도 한자의 조형성을 바탕으로한 문자 예술의 한 분야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윤리문자도는 각 글자마다 그 뜻과 관련된 일화나 상징물을 곁들여 그림으로써 회화성이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 순수한 서예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윤리문자도는 장식의 목적으로 그려진 것이기는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서민들 스스로가 인간과 나라에 대한 도리를 깨우치고 그것을 수행하여 궁극에는 이상적인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염원이 담긴 일종의 교화적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윤리문자그림은 ‘孝·?·忠·信·禮·義·廉·?’를 한 글자 씩 나누어 각 폭에 그리고 이것을 병풍으로 꾸민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문자 그림에는 이들 덕목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관련된 일화(逸話)나 고사(故事)‚ 혹은 일화와 관련하여 상징성이 부여된 기물이나 동식물이 글자 획(劃)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 그려진다. 이들 소재 중에는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에 등장하고 있는 소재들을 비롯하여 고사와 관련되는 인물 혹은 기물 등과 근엄한 유학자들의 전유물처럼 되어 있었던 《시경》과 같은 고전 속에 나오는 소재들도 포함되어 있다 <특징> 예자도(禮字圖)의 내용 이 그림을 보면 거북이가 책을 등에 메고 있는 모습이 예자(禮字)의 시(示)변의 첫 번째 획에 그려져 있는데‚ 이는 《하도락서 河圖洛書》 고사(故事)와 관련이 있는 것이다. 어떤 경우는 공자(孔子)가 행단(杏壇)에서 예(禮)를 강론하는 모습을 그리고 그 옆에 ‘공부자예대수지하(孔?子禮?樹之下)’라는 설명을 덧붙인 그림도 있다. 먼저 거북이에 대해서 말해 보자. 《한무고사》에 의하면‚ 하우(?禹) 때에 낙수(洛水)로부터 나온 거북이의 등에 글이 쓰여져 있었는데‚ 이것이 홍범구주(?範九疇)의 기원이 되었다 한다‚ 홍범은 주서(周書)의 편명(篇名)이며‚ 구주는 기자(箕子)가 무왕(武?)의 물음에 대답한 천하를 다스리는 아홉 가지의 대법(?法)을 말한다. 구주의 여섯 번째에 예용삼덕(乂用三德) 이라는 것이 있는데‚ 삼덕(三德)은 정직(正直)·강극(剛克)·유극(柔克)을 말한다. 이 삼덕이 예의 기본이 되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하여 거북이가 서책을 등에 지고 있는 모습이 예를 상징하는 소재로 선택된 것이다. ‘낙구부도 천리절문(洛龜負圖 ?理節文)’ 이라는 화제가 있는 그림도 있는데‚ 이를 미루어 보면‚ 이 서책을 하늘의 이치와 부모 자식간 혹은 부부간에 지켜야 하는 예를 써서 문서화 한 절문(節文)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