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윤리문자도

추천0 조회수 11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윤리문자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윤리문자도는 한자 자체가 지니는 조형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한자가 지니고 있는 조형성이란 허신(許愼)이 《설문해자 說文解字》에서 말한 상형(象形)의 개념과 통하는 것으로써‚ 상형은 문자 제작의 최초 단계인 회화법을 말한다. ‘효제충신예의염치’ 등의 여덟 문자를 소재로 하고 있는 윤리문자도도 한자의 조형성을 바탕으로한 문자 예술의 한 분야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윤리문자도는 각 글자마다 그 뜻과 관련된 일화나 상징물을 곁들여 그림으로써 회화성이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 순수한 서예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윤리문자도는 장식의 목적으로 그려진 것이기는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서민들 스스로가 인간과 나라에 대한 도리를 깨우치고 그것을 수행하여 궁극에는 이상적인 세계에 도달하고자 하는 염원이 담긴 일종의 교화적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윤리문자그림은 ‘孝·?·忠·信·禮·義·廉·?’를 한 글자 씩 나누어 각 폭에 그리고 이것을 병풍으로 꾸민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문자 그림에는 이들 덕목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관련된 일화(逸話)나 고사(故事)‚ 혹은 일화와 관련하여 상징성이 부여된 기물이나 동식물이 글자 획(劃)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여백에 곁들여 그려진다. 이들 소재 중에는 삼강행실도나 오륜행실도에 등장하고 있는 소재들을 비롯하여 고사와 관련되는 인물 혹은 기물 등과 근엄한 유학자들의 전유물처럼 되어 있었던 《시경》과 같은 고전 속에 나오는 소재들도 포함되어 있다 <특징> -잉어- 왕상의 효행과 관련된 소재이다. 왕상의 자(字)는 휴징(休徵)이며 진(晉) 임기인(臨沂人)이다. 위(魏)에 벼슬하여 대위(?尉)에 이르고 진(晉)에 들어가서 태보(?保)가 된 사람이다. 효성이 지극하여 계모가 엄동설한에 일부러 살아있는 물고기를 원할 때‚ 왕상은 이를 마다하지 않고 강에 가서 얼음을 두드려 깨니‚ 신령의 가호가 있어 쌍잉어가 뛰어 나왔다. 이를 잡아다가 왕상은 계모에게 정성껏 공양하였다 한다. 제(?)는 형제간의 도리‚ 즉 서로 도우며 우애롭게 살아야 한다는 덕목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자 그림에는 척령(脊令)이라고 하는 할미새와 상체(常)라고 하는 산앵두나무가 소재로 등장한다. 어떤 그림에는 화면 상단에 ‘춘회재분(春廻裁盆) 적체화홍(績花紅) 일난명원(日暖名園) 척령화포(脊令和咆)’라는 화제가 붙어 있기도 한다. 할미새와 상체가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하는 소재로 선택되게 된 것은 《시경 詩經》의 내용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시에 등장하는 할미새[脊令]는 제비의 일종으로‚ 꼬리는 길고 부리는 뾰쪽하며 등은 청회색이고 목 밑은 검다고 한다. 현존하는 제로 할미새와 상체를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음이 확실해 진다. 제자(?字) 그림의 할미새는 보통 제자의 심방변의 두 점을 대신하여 두 마리의 할미새가 입을 서로 마주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며‚ 상체는 제(弟)자의 윗 부분에 붙여 그려지거나 글자의 획 속에 그려지기도 한다. 그런데 현존하는 제자 그림에 나타난 할미새나 상체꽃을 보면‚ 할미새나 상체꽃의 본래 모습과는 거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그림을 그린 화가가 실제로 그것들을 못 본 탓에 기인한 것도 있겠지만‚ 화가들의 관심사가 할미새나 상체꽃의 외형을 충실히 묘사하는 데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것들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 표현에 더 큰 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자 그림에 그려진 새를 보면 이와 같은 할미새의 외형을 비교적 충실히 따른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새의 모습을 관념적으로만 표현한 것이 많다. 할미새가 갈 때는 꼬리를 흔들고 날 때는 울기를 끊이지 않는데‚ 이 모양이 매우 급한 일에 서로 도우는 듯하다 하여 형제간의 급난(?難)에 비유한 것이다. 실제로 ‘척령재원 형제급난(脊令在原 兄弟?難)’이라는 《시경》의 문구를 그대로 인용하여 화제로 삼은 그림도 있다. 한편‚ 상체는 앵두와 같은 과목(果木)인데‚ 줄기가 길어 꽃이 아래로 늘어지면서 꽃받침이 서로 함께 모이면서 환하고 밝게 피므로 형제간에 우애있는 것에 비유된 것이다. 이로써 조선 시대의 서민들은 보편적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