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치성광여래도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문의하기

※ 문의내용은 담당자 검토 후에 답변 드립니다.
 답변 내용은 마이페이지 > 문의하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필수입력
분류
이미지
저작물명
치성광여래도
필수입력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치성광여래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칠성을 불교의 호법선신(護法善身)으로 수용하고 이를 의인화하여 묘사한 불화(佛畵)이다. <내용> 불교 탱화의 하나. 사찰에서는 칠성각(七星閣)을 따로 건립하여 이를 봉안하고 있다. 원래 불교에서는 칠성신을 신중의 하나로 보고 신중탱화 속에서만 묘사하였다. 그런 칠성에 대한 신앙적 기능이 조선 초기부터 강화되면서 독립된 신앙형태를 지니게 되었고‚ 그에 따라 신중탱화에서 분화된 별개의 칠성탱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칠성신앙의 대상은 칠여래(七?來)의 화현(化琅)인 북두칠성에 대한 신앙이 아니라‚ 칠여래의 증명을 거친 칠성신이다. 따라서 칠성탱화를 그릴 때에는 칠여래와 함께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칠원성군(七元星君)을 반드시 묘사하게 된다. 칠성탱화가 널리 봉안된 것은 칠성의 주불(主佛)인 치성광여래가 약사여래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여 자식이 없는 부인이나 아들을 낳고 싶어하는 부인‚ 자식의 수명을 비는 신도들에게서 큰 인기를 모았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칠성탱화 중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 작품은 현재 일본 고베 다몬사에 있는 것과 일본인 개인소장품인 1569년(선조2)작 칠성탱화를 들 수 있다. <그림 설명> 중앙에 치성광여래를‚ 그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였고‚ 다시 좌우 끝쪽으로 10구의 인물이 있고 화면 상부에는 7여래가 배치되어있다. 화면 전면에 칠을 한 밝은 황토선만으로 모든 형상을 묘사하였다. 다만 각 존상의 몸체부에는 황토를 칠하고 붉은색으로 윤곽을 따라 바림을 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려 하였다. 각 존상의 형상에 이지러짐이 없고 구성도 안정되어 있는 작품이다. 윗입술이 V형을‚ 아랫입술이 타원형을 이루는 것이 이색적이다. 화기의 시주자는 한글로 쓰여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