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금

추천0 조회수 135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소금은 우리나라 국악기(國樂器) 중에서 죽부(竹部)에 속하는 관악기로 음역이 가장 높다. 우리나라의 국악기에는 거문고나 가야금처럼 상고시대부터 전해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피리나 비파처럼 서역에서 전래된 것도 있고‚ 편종(編鐘)이나 편경(編磬)처럼 중국에서 전래된 것도 있다. 그러나 수입된 악기들은 대부분 한국 국악체제에 알맞도록 개량되거나 완전히 한국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보존되어 있는 국악기는 64종에 달하는데‚ 일부 악기들은 주법을 잊어 쓰이지 않고 있다. 국악기를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법에는 2가지가 있는데‚ 그 하나는 악기의 재료에 의한 분류로 《증보문헌비고(增補文?備考)》에 의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로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한 것이다. 재료에 의한 분류는 악기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주요 재료로서‚ 금(金:쇠붙이)·석(石)·사(絲)·죽(竹)·포(匏:바가지)·토(土)·혁(革)·목(木)의 8가지로 나누는 방법이다. 이 8가지 재료를 팔음(八音)이라고 하는데‚ 8음에 따른 악기는 다음과 같다. ① 금부:편종·특종(特鐘)·방향(方響)·징·꾕과리·나발·자바라·운라‚ ② 석부:편경·특경(特磬)‚ ③ 사부:거문고·가야금·대쟁(?箏)·아쟁(牙箏)·금(琴)·슬(瑟)·향비파(鄕琵琶)·당비파(唐琵琶)·월금(月琴)·해금(奪琴)·와공후·수공후·소공후·양금(?琴)‚ ④ 죽부:대금(?仁)·중금(中仁)·소금(小仁)·당적(唐笛)·단소(短簫)·약·적(暮)·향피리·당피리·세피리·지(附)·소(簫)‚ ⑤ 포부:생황(笙簧)‚ ⑥ 토부:훈(塤)·부(缶)·나각(螺角)‚ ⑦ 혁부:갈고·장구(杖鼓)·좌고(座鼓)·용고(龍鼓)·중고(中鼓)·교방고(敎坊鼓)·건고(建鼓)·응고(應鼓)·삭고(朔鼓)·뇌고(雷鼓)·뇌도·영고(靈鼓)·영도·노고(路鼓)·노도·진고(晋鼓)·절고(節鼓)‚ ⑧ 목부:태평소(?平簫)·박(拍)·축(送)·어(棘)가 있다. 음악계통에 의한 분류는 악기가 쓰이는 음악 및 유래에 의한 분류로‚ 향악기(鄕樂器:전래·고유의 향악에 쓰이는 악기)·당악기(唐樂器:중국의 민속음악에 쓰이던 악기)·아악기(雅樂器:중국 상고시대의 궁중음악에 쓰이던 악기)로 나누는 방법이다. ① 아악기:편종·편경·특경·특종·약·소·지·훈·금·슬·건고·웅고·뇌고·진고·축·어·부·삭고·영고·영도·도·절고·화·생·우 등‚ ② 당악기:방향·박·교방서·월금·장구·당비파·해금·대쟁·아쟁·당적·당피리·퉁소·태평소‚ ③ 향악기:거문고·가야금·향비파·대금·향피리 등이 있다. 대나무로 만든 소금은 죽부에 해당하며‚ 국악에서 당악계 음악에 쓰이는 피리이다. 피리는 일자 모양의 관에 구멍을 뚫고 세로방향으로 불어 소리를 내庫)에 비장(秘藏)하여 왔다는 기록이 있어‚ 이 악기는 그 이전부터 신앙적으로 전승되어 온 신물(神物)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금은 대금·중금과 함께 신라3죽(新羅三竹)에 속하는 횡적(橫笛)으로 이중 가장 음이 높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중금과 소금의 제도와 보(譜)는 대금과 같고‚ 크기만 다를 뿐 지법(指法)이나 음계 등도 모두 대금과 같다"고 하였으나 청공(?孔)과 칠성공(七星孔)이 없다. 취구(吹口)와 6개의 지공(指孔)이 있으며‚ 관악기 가운데 가장 높은 음을 낸다. 조선 중기 이후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인천직할시 무형문화재 제2호인 단소장(短簫匠) 기능보유자이셨던 고 김용신선생의 작품이다. 는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부터 도입되어 사용되었다. 최남선(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에 의하면‚ 삼한시대부터 방울(鈴)·북(鼓)·거문고·피리(笛) 등의 네 가지 악기가 주로 종교상의 필요로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삼한시대의 고분에서는 진흙을 둥글게 뭉쳐 만든 피리가 많이 발굴되었는데 이것을 일본에서는 아메노이와부에(?磐笛)라 하여 신대(神代)의 악기라고 하였다. 또한 일본에서는 한국 고대의 피리를 가져가 이를 고마부에(高麗笛)라고 하였는데 이것으로도 옛날 한국에는 여러 가지의 피리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삼국유사》에도 통일신라 때 거문고와 피리의 두 가지 신기한 악기를 국가의 제천고(祭?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