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병

추천0 조회수 89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은 우선 색의 아름다움에 있다. 고려청자의 색은 11세기에 들어서면 고려 특유의 비색(翡色)으로 세련되기 시작하여 그 절정기는 12세기 전반이다. 순청자(純靑磁)는 청자 표면에 아무 문양이 없는 것과 음각(陰刻)‚ 양각(陽刻)을 하거나 상형(象形) 등을 지칭하며 상감문양과 같이 청자 태토에 다른 색의 자토(?土)나 백토를 사용하거나 철화(鐵畵)와 동화(銅畵)와 같이 산화철이나 산화동으로 문양을 나타낸 것은 제외된다. 순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 전반기 50년 동안은 고려 도자사에 있어서 절정기였다. 11세기 후반이래 생동감이 넘치면서 유연한 세련을 거듭하여 온 청자와 백자는 유약과 태토 모두 차원을 높여서 한층 정치해졌다. 이것은 비단 도자기뿐만 아니라 이 무렵 모든 고려 공예와 회화 그리고 인쇄술의 발달 등과 견주어 보아도 발전한 것이며 고려자기는 기형과 의장 등 조형 감각과 기술에 분명한 독창적인 고려화의 경향을 짙게 나타내게 된 것이다. 인종 원년(1123)에 송(宋) 휘종이 보낸 사신의 일원으로 고려에 왔던 서긍은 그의 저서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 " 도자기의 색이 푸른 것을 고려 사람들은 비색(翡色)이라 부른다. 요사이 고려 도자기의 제작이 절묘해졌는데 그 색이 더욱 아름답다... 사자가 향을 토해 피어오르는 형상의 향로도 역시 아름다운 비색이다. 뚜껑은 쭈그리고 앉은 짐승 모양이고 밑짝은 연꽃 모양인데 많은 그릇 가운데 이것이 가장 뛰어나고 절묘하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송(宋)의 학자인 태평노인(?平老人)은 그의 저서 『수중금(袖中錦)』에서 천하제일을 다루는 속에 송 청자의 비색은 빼 놓고 고려 청자의 비색을 천하제일로 꼽고 있다. 순청자 절정기의 비색은 시유(施釉)된 유약의 두께가 얇고 비취옥과 같은 녹색이 비쳤으며 유약 내에 미세한 기포가 많아 반실투성(半?透?)으로 태토가 은은히 비춰 보인다. 우리 청자의 비색이 산곡(山谷)을 흐르는 맑은 물이나 모시 발이라면 중국 청자는 깊은 웅덩이의 물이거나 비단 발과 같아서 하나는 맑고 은은하면서 투명하고 하나는 진하여 불투명하고 두꺼운 장막을 드리운 것과 같다. 이때 우리 청자는 유약과 함께 기면(器面)의 정리도 매끄럽고 전체적으로 각 부위가 서로 잘 조화되어 균형이 잘 잡히면서 준수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본 유물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청자병(靑磁甁)이다. 유색(釉色)은 담록색(?綠色)을 보인다. 유약의 시유(施釉) 상태가 좋지 못하고 어깨 부분의 유약은 벗겨지기도 하고 탈색되어 푸른색으로 보인다. 기면(器面)이 거칠고 복부(腹部) 중앙에는 불순물이 부착되어 있다. 구연부(口緣部)는 심하게 이지러져 있으며 일부 파손되었다. 굽도 파손이 심하다. 기형을 살펴보면 구연은 심하게 이지러져 그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없고 목은 길다. 동체(胴體)는 거의 구(球)에 가까울 정도로 둥글다. 복부 중앙에 중심이 있다. 물레자국이 희미하게 남아있다. 문양이 전혀 시문되지 않은 순청자(素文靑磁)이다. 순청자(純靑磁)는 문양 장식이 없는 소문청자(素文靑磁)와 성형한 후 표면에 음각(陰刻)‚ 양각(陽刻)으로 문양을 새기거나 투각(透刻)한 청자‚ 그리고 동식물의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청자(象形靑磁)를 가리키는 말이다. 본 유물은 순청자 중에서도 소문청자(素文靑磁)에 해당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