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현도전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현도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전은 벽돌 ·타일과 비슷한 옛날의 동양 건축재로‚ 흙을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워 분묘의 벽 또는 바닥 등의 표면을 장식하였으며‚ 부전(敷塼) ·벽전(壁塼) ·묘전(墓塼)과 같이 용도에 따른 구분이 있고‚ 사각형전 ·직사각형전 ·상형전(箱形塼) ·능형전(菱形塼)과 같이 형태에 따른 구분이 있다. 전의 무늬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주제(主題)가 달라지고 표현수법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평안남도 및 황해도 일대의 전축분에서는 연호등의 기년이 새겨진 벽돌들이 다수 발견되어 무덤 주인공의 사망연대나 무덤축조연대‚ 벽돌의 제작연대 등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기년명 벽돌은 문자를 새긴 틀을 벽돌의 한 면 전체에 눌러 양각시킨 것이 대부분으로 동안대부터 제작되고 있다. 기년의 연호들은 동한(東漢)‚ 위(魏)‚ 서진(西晉)의 것이 대부분이며 일부 이민족 국가들의 연호가 채택된 것도 있다. 이러한 기년명 벽돌은 연호 이외에 피장자의 신분을 파악할 수 있는 성씨나 관직‚ 출신지 등이 표기된 예가 있어 당시의 시대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문전은 긴 한쪽 측면과 짧은 한쪽측면에 다양한 무늬를 양각하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마름모꼴이 많이 사용되지만 점차 마름모꼴과 원으로 조합된 것‚ 물결무늬가 장식된 것‚ 인물이나 동물 등의 그림이 새겨진 것 등 무늬가 다양해진다. 시기가 내려올수록 점차 벽돌이 얇아지고 이에 따라 문양을 시문하는 공간도 작아지면서 문양의 조잡화‚ 간략화가 진행된다. 벽돌 중에는 문양이나 회화뿐만이 아니라 문자도 기록한 것도 있는데‚ 기년명이 찍히거나 무덤 주인공의 이름‚ 벽돌을 만든 사람의 이름‚ 대길(?吉)이나 부귀(富貴)와 같은 길상구나 추도구 등이 표현되어 있는 것도 많다. 본 유물은 1932년 평양역 구내에서 발굴된 현도태수 무덤의 전으로 "永和九年三月十日遼東韓?守領?利造"라는 한자가 전의 좁은 한 면에 새겨진 전돌이다. 현도군은 한무제가 창해군(滄涇郡)을 설치한 예맥(濊貊)의 땅에 둔 것으로‚ 압록강 중류지역과 혼강(渾江:佳江) 유역에 자리잡고 있었다. 회색경질인 유물의 측면 중 넓은 곳에는 위와 같은 명문이‚ 좁은 곳에는 능형문 3개가 포개져서 나란히 한 쌍이 표현되고 있으며‚ 전의 위 아래 넓은 면에는 승석문이 시문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