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기병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기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 도기의 특색으로‚ 바탕흙은 철분이 많이 함유된 흙을 쓴 것은 앞의 고려도기와 마찬가지로‚ 도기 제작의 전통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큰 변화 없이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단단한 정도는 굽는 온도와 흙의 성분에 따라 결정된다. 그릇꼴은 다양해지지만 특히 단지와 병 종류가 가장 많다. 단지는 분청자나 백자와 닮은 것도 있으나 대부분 높이가 낮고 작은‚ 도기 특유의 그릇 모양새이다. 병은 백자와 비슷한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나 18세기 무렵이 되면 입이 작고 몸통이 크며 바닥이 널찍한 도기 특유의 꼴로 제작하게 된다. 굽은 고려도기처럼 평편밑이 기본이다. 물레판에 바닥을 다진 뒤‚ 그 가장자리에 그릇벽을 쌓아 올리는 수법을 썼기 때문에 바닥과 몸통의 이음자국이 대부분 선명히 남아 있다. 1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병이나 단지의 바닥 중앙에는 물레판에 음각으로 새겨놓은 표시들이 찍혀 있다. 이들은 그릇꼴‚ 유약색깔‚ 바탕흙 등이 모두 동일한 점으로 보아 18세기 같은 가마군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무늬는 대부분 타날기법(수레질)에 의해 생긴 삿무늬‚ 문살무늬‚ 새끼줄무늬가 그릇 몸통에 남아 있거나 써리질을 하며 생긴 자국이 남아있다. 무늬가 없지만 몸통에 몇 줄의 음각선이나 물결무늬를 두른 것도 있다. 유약은 가마에서 구울 때 그릇 표면에 떨어진 재가 녹아 흘러내려 자연적으로 생긴 회유가 많으며 고온에서 구워내는 과정에서 바탕흙 속의 장석이 유리질화 되어 표면에 보이는 예도 있다. 도기 바닥에는 화강암 조각이나 굵은 모래들이 가마 안에서 녹아 붙은 흔적이 있는데‚ 이는 굽는 온도가 고려시대 질그릇보다 높았음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도기의 발달을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는 고려 후기의 전통을 이은 회청색의 단단한 도기와 회흑색의 무른 도기가 만들어졌다. 분청자와 초기백자 그릇꼴을 닮은 매병‚ 납작병‚ 장군‚ 단지‚ 항아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릇꼴은 대체로 안정된 형태이며 바닥은 평편밑이다. 몸통에는 써리질 흔적과 문살무늬 등 수레질 자국이 많이 보인다. 중기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화에 따라 도자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로 분청자는 소멸되고 회백색 백자와 철화백자 등이 제작되었다. 도기는 회청색의 단단한 작은 단지‚ 손잡이 붙은 단지‚ 큰몸통의 병‚ 장군 등이 주류를 이룬다. 최근 이러한 도기들이 이 시기의 백자그릇과 함께 출토되어 도기의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근거가 되고 있다. 후기는 회청색‚ 회흑색의 단단하고 무른 도기들이 옹기와 함께 생활용기로 널리 사용되었다. 18세기로 가늠되는 병과 단지들의 바닥에는 匠人 또는 가마의 표시로 보이는 다양한 기호가 찍혀 있다. 이러한 병들은 단원 김홍도의 그림 `벼타작`‚ `월하취생도` 등 당시의 풍속그림에서 쉬이 보일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유물은 구부가 약간 벌어져 편평하고 짧은 목에‚ 동체는 어깨에서부터 둥글게 벌어져 그대로 완만하게 평저까지 이어진다. 양감있고 안정감있는 회청경질의 도기병이다. 어깨와 동중부에 침선이 각각 1조씩 돌아가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