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사발

추천0 조회수 4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사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白磁)란 백토(白土)로 그릇의 형태를 만들고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장식을 한 다음 투명한 백색 유약을 입혀 구워 낸 도자기를 말한다. 백자의 색깔은 그릇에 입혀진 유약의 색으로 좌우된다. 유색(釉色)은 유약의 성분‚ 가마 안의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눈같이 흰 설백색(雪白色)‚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乳白色)‚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은 청백색(靑白色)‚ 푸른기가 짙은 청백색‚ 회백색(灰白色) 등으로 제작된 시기와 지역에 따라 색조의 차가 있다. 그러므로 백자의 백색은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려우나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18세기 말경에 제작되기 시작하였던 청백색의 백자가 분원리 가마 특유의 유색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청초한 청백색의 백자유로 전개되어 주목된다. 본 유물은 기면(器面)에는 무늬가 전혀 보이지 않는데 이것과 같이 그릇 표면에 아무런 무늬가 없는 순도 높은 순백의 태토와 잡물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석회유(石灰釉)를 씌워 고화도에서 구운 경질의 백자를 순백자라 한다. 장식이 전혀 없는 것(素文)이 일반적이나 음각(陰刻)‚ 양각(陽刻)‚ 투각(透刻) 등의 문양이 이 장식된 것도 일부 만들어졌다. 조선시대 가마터를 조사해 보면 순백자 종류가 95% 이상을 차지하며 그릇의 종류는 대접‚ 접시류가 대부분이며 병이나 항아리는 드문 편이다. 순백자는 일반적으로 형태가 온전하고 백자색이 순정한 것을 좋은 백자로 치는데 특히 조선 초기의 백자와 18세기 전반의 소위 금사리계(金沙里系)가마에서 생산된 백자에 우수한 작품이 많이 보인다. 순백자의 발생 시기는 명확히 밝힐 수 없으나 1391년 제작품인 ?武 24年銘 백자발은 기형에 있어서 이미 조선적인 양감(量感)이 형성되어 있고 질감‚ 색감 등에서도 고려백자와는 현저히 다르다. 따라서 조선백자의 태동기는 1391년 전후로 볼 수 있을 듯 하다. 15세기 전반 경에는 순백자가 분청사기 가마에서 함께 번조 되었던 듯 하며 이때에 백자만은 특히 갑발에 넣어 정교하게 제작하고 있다. 문헌 기록에서는 1425년 세종 7년에 명 인종(仁宗)의 요구에 의해 10탁분(十卓分) 210개의 백자를 정세번조(精細燔造)하여 바친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이 15세기 전반까지는 백자의 생산은 일부 왕명에 의하거나 혹은 왕의 어기용으로만 많지 않은 양이 제작된 듯하다. 본격적인 백자의 생산은 광주(廣州)가 관요로서 제작 활동을 활발히 하던 15세기 후반부터였다. 본 유물은 18세기에 제작된 순백(純白)의 사발이다. 약간 회색 빛이 돌기는 하지만 백색에 가깝다. 유약의 시유(施釉)가 전면에 골고루 잘 이루어지고 유면(釉面)도 고르고 매끄럽다. 광택이 난다. 깨진 곳 없이 완형(完形)을 유지하고 있다. 기형을 보면 동체(胴體)는 반원형에 가깝고 구연부(口緣部)에서 살짝 외반(?反)한 형태이다. 굽이 좁고 사발의 내부에는 원권(圓圈)을 둘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