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항아리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5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백자(白磁)란 백토(白土)로 그릇의 형태를 만들고 그 표면에 여러 가지 장식을 한 다음 투명한 백색 유약을 입혀 구워 낸 도자기를 말한다. 백자의 색깔은 그릇에 입혀진 유약의 색으로 좌우된다. 유색(釉色)은 유약의 성분‚ 가마 안의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눈같이 흰 설백색(雪白色)‚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乳白色)‚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은 청백색(靑白色)‚ 푸른기가 짙은 청백색‚ 회백색(灰白色) 등으로 제작된 시기와 지역에 따라 색조의 차가 있다. 그러므로 백자의 백색은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려우나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18세기 말경에 제작되기 시작하였던 청백색의 백자가 분원리(分院里) 가마 특유의 유색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청초한 청백색의 백자유(白磁釉)로 전개되어 주목된다. 조선왕조는 좋은 백색을 내기 위해 백토 시험에 합격한 것을 광주 관요에서 사용하였다. 예컨대 광주 수토(廣州水土)‚ 양구백토(楊口白土)‚ 진주 백점토(晉州白粘土)‚ 곤양 수을토(昆陽水乙土)‚ 봉산 서면 백토(鳳山西面白土)‚ 원주백토(原州白土)‚ 서오 남산 백점토(瑞?南山白粘土)‚ 사현(沙峴)‚ 양근 백토(楊根白土)‚ 선주(宣州)‚ 충주(忠州)‚ 경주(慶州) 등지인데‚ 특히 제기를 굽기 위한 백토는 정확한 실험을 거쳐 가려 쓰려고 애쓴 기록이 여러 곳에 보인다. 이를테면 숙종 27년(1701)에 보면 양구토가 제기 번조에 합당하지 않아 매번 선천과 경주의 흙을 굴취해서 번조해 왔는데 지금 역시 갑인년(1674)의 예에 따라 두 고을의 백토 20 석을 수비(水飛)하여 아홉 말을 1석으로 만들어 육운(陸運)을 통해 올려보내라는 뜻을 경상도와 평안도 감사(監司)에게 명령을 내리도록 사옹원 제조(司饔院提調) 이사영(李?永)이 임금에게 아뢰어 윤허를 받은 내용이 있다. 또한 숙종 39년(1713)에 사옹원에서 계(啓)한 것을 보면‚ 곤양 수을토가 맥이 다해서 지난해 본원낭청을 보내 그 부근을 여러 곳 답사를 했는데 하동(河東)의 토품이 곤양만은 못해도 다른데보다도 나아서 채취해 와서 분원 번조관(分院燔造官)이 시험하여 보고 하고 있다. 그 보고에 의하면 하동 수을토 다섯 되를 전에 쓰다 남은 곤양토 두 말 닷 되와 배합해서 수비 시번(水飛試燔)을 해 보니까 빛이 모두 청흑(靑黑)이고 광택이 나지 않아서 결코 쓸 수 없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번조 시기는 점점 늦어져 걱정하면서 과거에 이러했던 예를 참고하여 임시로 가평(加平)에서 수십 석을 채취하여 정서 하부에 이른다. 문양이 전혀 시문(施文)되지 않은 소문백자(素文白磁)이다. 번(停燔)을 면하려고 애쓰고 있다. 결국 양질의 백토를 구하기 위해 매우 고심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채취한 백토는 모두 시험 번조한 후‚ 그 색조‚ 광택‚ 질 등이 합격한 것만 사용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기록은 모두가 백자의 색을 잘 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본 유물은 조선 18세기에 제자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항아리이다. 유색(釉色)은 설백색(雪白色)을 보인다. 유약에는 잡물이 보이지 않고 맑고 깨끗하다. 유면(釉面)은 매끄럽고 광택이 보인다. 구연부(口緣部)에는 균열이 보인다. 기형을 보면 마치 타이어를 연상시키는 모양으로써 위아래로 꾹 눌린 듯한 형상이다. 구연은 옆으로 완전히 뉘어져 있고 어깨는 아래로 내려가면서 둥근 곡선을 이루고 몸통 중앙부분에 중심이 있다. 다시 둥근 곡선을 이루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