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기매병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기매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도기는 백색에 가까운 1차 점토를 사용하지 않고 수성퇴적물로 여겨지는 2차 점토를 원료로 사용하므로 토기 태토에는 순수한 점토뿐만 아니라 실트성 사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불순물이 들어 있어 색깔도 짙은 편이다. 특별한 원료 점토의 가공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상형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해 비가소성 입자를 약간 섞어 넣거나 유기질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도였을 것이다. 고려도기의 특색으로는 기형에 있어서 다양하나 항아리와 병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음과 대합류 등의 특이한 기형도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고‚ 문양은 타날기법에 의한 돗자리무늬‚ 파장선문이 보이나 주로 무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유약은 자연적으로 씌워진 회유가 남아있는 예가 많다. 태토는 점토를 주로 하여 구운 온도에 따라 회청색의 경질도기와 회백색의 연질도기가 제작되었으며 주류는 회청색의 경질도기들이다. 굽은 평저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으로 특색을 이루며‚ 가마터로는 영암과 강진 부안 등지에서 발견된 바 있으나 적으며‚ 대부분 구릉을 파고 들어간 터널형의 통가마로 와요의 전통과 일치하고 있다. 용도로는 고려시대 일상생활에 널리 쓰이는 물독‚ 술독‚ 쌀‚ 과일의 저장용기로서 주로 쓰였고‚ 드물게 장골용기로서 또는 술병‚ 술주전자‚ 의식용의 정병 등으로 제작되었다. 도기 특유의 큰 항아리 계통은 청자‚ 청동기 등과 다르나 소형의 기름병‚ 주전자‚ 정병‚ 매병‚ 주병 등은 같은 기형이 있어 신분의 차이 또는 생활의 정도에 따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고려초기의 도기는 통일신라의 도기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경질의 회청색도기들과 연질의 회흑‚ 회백색의 도기들이 제작되었다. 돌대장식이 있는 큰 항아리들과 사각병‚ 광구호‚ 소병‚ 대발들이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듯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으며‚ 11세기 들어서서는 전형적인 광구병‚ 항아리들이 제작된다. 기벽도 얇아지고‚ 세련되어가며‚ 접시‚ 완‚ 합 등은 청자로 제작되어 구분되는 듯 하다. 주로 회청색의 경질도기가 주류를 이어 제작된다. 중기의 도기들은 청자의 발달과 함께 더욱 세련되며‚ 매병‚ 유병‚ 주전자‚ 발‚ 정병 등에 있어 청자‚ 청동기와 같은 기형이 제작된다. 회청색의 경질도기가 주류를 이루며 약간의 연질도기도 만들어진다. 후기의 도기들은 기벽이 두꺼워지고 몸체에 타날기법의 돗자리무늬가 남아 있는 매병‚ 장군‚ 호‚ 주병 등이 주류를 이루면서 만들어진다. 청자의 기형과 같은 참외형 주전자‚ 매병‚ 주병이 많이 만들어져 신분‚ 생활정도에 따른 사용의 필요성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유물은 구연은 외반되고 구경은 거의 없이 바로 둥근 어깨를 가진 동체부로 이어진다. 동상부가 풍만한 상체에서 저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져 들어가 풍부한 양감을 보여주고‚ 균형이 잘 잡힌 동체에 비해 구연과 저부가 약간 빈약한 느낌을 준다. 수레질로 인해서 표면에 삿자리무늬가 많이 남아 있으며 써리질 자국도 남아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