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회유정병

추천0 조회수 7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회유정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회유(灰釉)란 우리말로 잿물이라고 하는데‚ 재를 매용제로 하는 회색유약이다. 소나무‚ 싸리나무‚ 그리고 볏짚과 같은 화본과(禾本科) 식물의 재를 물에 타면 재에는 규산분‚ 산화칼슘‚ 나트륨‚ 알루미늄 등이 있으므로 이것이 곧 초보적인 유약이 되는 것이다. 회유는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7세기경 이후부터 그 개발이 이루어져서 8세기 이후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짙으며‚ 회유 토기를 생산했던 통일신라시대 가마터로는 경주 근방뿐만 아니라 보령군 진죽리와 영암 동구림리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회유는 높은 온도를 받으면 유리질로 변하기는 하나 뭉쳐 흘러내려 표면에 골고루 유리막이 입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여기에다 장석이나 순수 규산인 석영을 갈아 넣으면 골고루 곱게 유약이 씌워지는데‚ 이것이 소위 장석유이다. 토기 태토 대신에 자기질 태토를 사용하고 초벌구이한 그릇 위에 이 장석유를 시유하면 자기가 되는 것이다. 정병(?甁)은 kendi‚ kundi로부터 파생된 범어(梵語)의 kundika로써 물을 넣는 병을 뜻한다. 이 kundika가 중국에 전해서 군지(軍持)라고 음역(音譯)되고‚ 우리나라에 전해져 정병이 된 것이다. 원래 정병의 시작은 아열대 기후인 인도의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것이었다. 이러한 생활필수품이었던 수병(水甁)이 불교에 수용된 후 심신(心身)의 정화라는 의미가 덧붙여지게 되면서 정병으로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즉 정병은 일상생활품이라기 보다는 스님이 지녀야 할 18지물의 하나이며‚ 부처님 앞에 바치는 공양구로서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의 지물이 되기도 하는‚ 또한 불교 의식 시 정병안의 감로수를 뿌림으로써 모든 마귀와 번뇌를 제거한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정병은 고려시대에 특히 많이 제작되었는데 화려하고 높은 수준의 기법을 보이고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순박하고 간결한 느낌을 주고 있다. 정병은 몸체와 목에 해당하는 경부(經部)‚ 뚜껑과 물을 넣고 빼는 호스와 같은 첨대(尖臺)와 입구인 주구부(注口部)로 구성된다. 몸체에는 물을 따르는 입구가 달려 있는데 주둥이를 구부(口部)라고 하며 그 모양이 새의 부리와 같다고 하여 귀때라고도 한다. 본 유물은 회유정병으로‚ 시기는 조선 후기로 추정된다. 주구부와 첨대 위쪽이 파손되었으며‚ 몸체는 어깨가 둥글고 저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바닥은 평평한 평저이며‚ 표면이 회유로 씌워져 있지만‚ 유약상태는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골고루 시유되지 않아 군데군데 얼룩이 진 듯한 느낌을 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