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돌화살촉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돌화살촉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돌을 떼기기법으로 만든 화살촉으로 수렵용으로 사용되었던 도구 <발달과정과 역사> 선사시대 사냥도구인 활의 부속품으로 후기 구석기시대 이후 제작되었으며 중석기시대를 거쳐 신석기시대까지 많이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돌화살촉은 활의 부속품으로 화살 끝에 박은 돌로 된 촉(鏃)을 지칭하는 것으로 제작기법에 따라 뗀돌살촉과 간돌살촉으로 구분된다. 이들 돌화살촉은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석촉의 기능이 다양하여 실용품이외에도 의기화(儀器化)한 부장용품도 있다. 돌화살촉이 출토되는 유적은 집자리와 무덤이 대부분으로 농경이 본격화 되기 이전에는 주로 수렵용으로 사용되었고 이후에는 무기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뗀돌살촉의 형태는 날이 있는 신부(身部)과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莖部)으로 이루어지는데 화살촉을 자루에 부착하는 슴베(莖)의 유·무에 따라 무경식(無莖式)과 유경식(有莖式)으로 구분되는데 평면형태에 따라 삼각형‚ 버들잎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단면의 형태는 대개 렌즈형이나 편육각형태이며 대략 5cm내외로 크기는 크지 않다. 뗀돌살촉은 몸돌에서 얻은 격지를 눌러뜯기 기법으로 2차 가공을 한뒤 다시 잔손질을 해서 형태를 만든다. 원재료가 되는 석재로는 흑요석이나 플린트‚ 점판암(粘板巖)등이 사용된다. 간돌살촉이 북유럽‚ 중국‚ 만주‚ 한반도‚ 일본 등 지구의 북반부에만 한정되어 발견되는 데 비해 뗀돌살촉은 전세계적으로 출토되고 있는 차이를 보인다. 한반도에서 뗀석기가 출토된 유적으로는 청진 농포리‚ 무산 범의구석‚ 유선 검은개봉‚ 중강 토성리‚ 부산 동삼동‚ 통영 연대도‚ 욕지도‚ 양양 오산리‚ 단양 상시 3바위그늘 유적등이 있다. 이 돌화살촉은 뗀돌화살촉으로 슴베가 없는 무경식이다. 화살촉의 평면형태는 장삼각형이다. 측면 날 하단 일부가 파손된 상태이다. 슴베의 하단은 불규칙하게 마무리되어 정연하지 못하다. 날부분과 슴베를 중심으로 눌러떼기한 흔적이 관찰된다. 촉신과 슴베의 단면은 볼록렌즈형이며 암질은 플린트이다. <참고문헌> 國立文化財硏究所‚『韓國考古學事典』‚ 2001. 박준범‚ 『한강유역 출토 돌화살촉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