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산수도

추천0 조회수 10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산수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도영(李道榮;1884-1933)은 서울태생의 한국화가로 18세때에 조석진‚ 안중식의 문하생이 되어 전통화법을 폭넓게 수업하였다. 특히 안중식의 화풍을 주로 이어받아 인물‚ 영모 등을 주제로 온건하고 자유로운 필력을 발휘하였다. 한국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발전하였던 때는 조선왕조라 할 수 있다. 이 시대의 회화는 고려회화의 전통을 계승하고‚ 송‚ 원‚ 명‚ 청의 중국회화를 선별적으로 수용·소화해서 구도‚ 공간처리‚ 필묵법‚ 준법(峻法)‚ 수지법(樹枝法) 등에서 독자적인 양식을 형성하였다. 조선시대 회화는 많은 변화를 거듭하였는데‚ 양식적 변천에 따라 초기(1392-약 1550)‚ 중기(약1550-약 1700)‚ 후기(약1700-약1850)‚ 말기(약1850-1910)의 네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북송대(北宋代)의 곽희파(郭熙?) 화풍을 토대로 발전된 안견파(安堅?) 화풍이 가장 유력하였으며‚ 이 밖에 강희안(?希顔)을 중심으로 명대(明代)의 절파(??) 화풍과‚ 이상좌(李上佐)를 중심으로 남송대(南宋代)의 마·하파(馬??) 화풍‚ 그리고 최숙창(崔淡昌) 등을 중심으로 미법산수(米法山水) 화풍 등이 화단의 일각에서 그려졌다. 중기에는 안견파 화풍을 비롯한 초기의 화풍들이 계승 지속되었으나 그 중에서도 절파계의 화풍이 가장 크게 유행하였으며‚ 영모와 화조화 부분에서 김식(金埴)·조속(趙?)‚ 묵죽·묵매·묵포도(墨葡萄) 에서 이정(李霆)·어몽룡(魚?龍)·황집중(黃執中)·허목(許穆) 등의 문인화가들이 배출되었다. 후기에는 중기 이래로 유행하였던 절파계 화풍이 쇠퇴하고 그 대신 남종문인화가 본격적으로 유행하였으며‚ 한국의 산천을 독특한 화풍으로 표현하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가 정선(鄭敾)을 중심으로 크게 발달하였다. 그리고 김홍도(金弘道)와 신윤복(申潤福) 등에 의해 풍속화가 그려졌으며‚ 청나라로부터 서양화법(西?畵法)이 전래되어 미약하게나마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새로운 경향의 화풍들은 조선 후기의 회화를 어느 시대보다도 개성이 강하고 민족적 자아의식이 짙은 것으로 돋보이게 해주었다. 말기에는 진경산수와 풍속화의 전통이 쇠퇴하고 김정희(金正喜)를 중심으로 남종문인화가 더욱 큰 세력을 굳혔으며‚ 이와 더불어 윤제홍(尹濟弘) ·김수철(金秀哲)을 비롯한 개성이 강한 화가들이 나타나 참신하고도 이색적인 화풍을 창조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일제시대의 전통문화 말살정책과 서양화의 대두 등으로 조선시대 한국화의 전통은 최말기(最末期)의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을 고비로 퇴조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장승업의 영향을 받은수도로‚ 산수도는 산과 언덕‚ 바다와 강‚ 풀과 나무‚ 구름과 안개 등으로 이루어진 자연의 경치를 그린 그림을 말한다. 이도영은 자는 중일(仲一)‚ 호는 관재(貫齋)·면소(면巢)·벽허자(碧虛子)이며‚ 서울 출신이다. 그는 안중식(安中植)‚ 조석진(趙錫晉)으로부터 그림을 배웠고‚ 스승들의 스승이라 할 수 있는 오원 장승업을 매우 존경하였다고 한다. 그는 1918년에 창립된 대한서화협회(?韓書畵協會)에 처음부터 참여하였으며‚ 조선 미술전람회의 동양화부 심사위원을 지냈다. 글씨는 예서·행서에 능했고‚ 그림은 특히 산수·인물·화조·절지·기명 등에 뛰어났다. 산수에서는 심전과 소림의 스타일을 답습하여 매너리즘에 빠진 것 같은 모습이 보이기도 하지만‚ 화조나 기명절지 등에서는 장승업의 영향을 많이 받은 좋은 작품들이 많다. 심전(心田) 안중식(安中植: 1861-1919)과 소림(小琳) 조석진(趙錫晉: 1853-1920)을 비롯한 근대 초기의 작가들이 서화협회를 조직하여 후진 양성에 힘쓰고‚ 그들의 문하에서 배출되어 독자적인 세계를 형성한 이상범(李象範)·노수현(盧壽鉉)·변관식(卞寬植)·김은호(金殷鎬) 등에 의해 현대 화단에까지 맥락이 이어질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장승업의 일파와 더불어 소치(小癡) 허련도 호남화단을 중심으로 하여 아들인 미산(米山) 허형(許瀅)을 비롯한 후손들과 그들의 제자들로 화풍이 전수되어 일문을 이루게 되었다. 장승업과 허련은 현대화단에까지 후진들에 의하여 그 계보가 이어지고 있어 쌍벽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본 작품은 조선말기 서화가인 이도영(李道榮: 1884년[고종 21]∼1933년)이 그린 산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