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산수도

추천0 조회수 27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산수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표암(豹菴) 강세황(?世晃;1713-1791)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로 시‚서‚화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 한국적인 남종문인화풍(南宗文人畵風)의 정착에 기여하였으며‚ 眞景山水의 발전과 풍속화‚ 인물화의 유행‚ 새로운 서양화법의 수용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림의 소재는 산수‚ 화훼를 주로 다루었는데 말년에는 묵죽으로 이름을 날렸다. 조선 후기(약1700∼약1850)는 우리 나라의 회화사에서 가장 한국적이고도 민족적이라고 할 수 있는 화풍이 형성된 시기이다. 이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비판적 태도를 취했던 실학(實學)이 자아의식을 바탕으로 문화 전반에 걸쳐 조선 후기를 지배한 시대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대의 회화는 대체적으로 일반과 보다 가까워지고‚ 생활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소재를 택하여 한국적 회화를 형성하였던 것이다. 이 시대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중기이래 유행하였던 절파화풍이 쇠퇴하고‚ 그대신 문인화(文人畵) 또는 남종화(南宗畵)가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황공망‚ 오진‚ 예찬‚ 왕몽 등 원말의 4대가를 비롯하여 명대의 심주와 문징명 등 오파의 화가들‚ 청대의 정통파의 화풍이 전해지면서 조선 중기에 이미 수용되기 시작한 남종화가 선비화가들과 화원들에 의해 깊이 뿌리를 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벽은(僻隱) 진재해(秦再奪)이후로 절파화풍은 미세한 부분적인 잔재만 남긴 채 종말을 고하게 된 것이다. 두 번째로는 남종화법에 기반을 두고 우리 나라에 실제로 존재하는 산천을 독특한 화풍으로 표현하는 진경산수(眞景山水)가 대두하였다. 정선파(鄭敾?)라고 부를 수 있는 이 화풍은 조선 초기의 안견파 화풍에 대응하는 매우 중요하고 비중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풍속화(風俗畵)가 유행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풍속화의 대표자는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와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이다. 넓은 의미에서 풍속화의 시작은 김홍도보다 이전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김홍도와 그 후의 화가들에 이르러 더욱 뚜렷한 양상을 이루고 있다. 네 번째로는 청조의 회화와 그곳에 전래되어 있던 서양화풍이 전해져 남리(南里) 김두량(金斗樑)에의 하여 부분적으로 수용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서양화풍은 일부 작품들에 나타나 있을 분 널리 유행되지 못하였지만 음영법과 투시도법을 특색으로 하여 조선 말기 화원들에 의해 궁궐도‚ 초상화 민화에 폭넓게 채택되기에 이른다. 본 유물은 조선 18세기에 강세황이 그린 산수도(山水圖)이다. 종이에 수묵담채(水墨?彩)하였다. 멀리 낮고 둥근 구릉들이 이어진다. 산 앞으로는 강물이남겼다. 그는 일생 동안 습기(習氣)나 속기(俗氣)가 없는 문인화의 경지를 추구하여 담백한 필치‚ 먹빛의 변화와 맑은 채색 등으로 독자적인 화풍을 이룩하였다. 그의 산수화는 전통적인 중국 남종화법을 소화한 명랑하고 건강한 수묵과 담채를 특징으로 하며 그 화풍은 다양함을 지니고 있다. 그의 진경산수의 대표작으로 송도기행명승도첩 등이 있다. 비교적 완숙한 필치로 만년에 제작한 듯한 송도기행첩은 개성 일대의 명승을 여행하면서 담은 기행 서화첩이다. 사경의 내용은 송도전경‚ 노담‚ 백석담‚ 백화담‚ 대흥사‚ 청석담‚ 영통동구‚ 박연 등의 경치이며 화면에는 기행문이 적혀있다. 유유히 흐르고 화면의 하단에는 나무 아래에 구부정 허리를 굽히고 서 있는 선비를 묘사하였다. 전형적인 남종문인화풍의 작품이다. 강세황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문인 서화가이며 평론가로‚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자는 광지(光之)‚ 호는 표암(豹菴) 또는 첨재이다. 60세가 넘어서야 벼슬을 살기 시작하였고‚ 72세 때인 1784년에는 천추부사로 연경에 가 서화로 이름을 날렸다. 시서화 삼절로 일컬어졌으며 남달리 높은 식견과 안목을 갖춘 사대부 화가로서 스스로 그림 제작과 화평 활동을 통해 당시 화단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강세황은 특히 한국적인 남종 문인화풍의 정착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진경산수의 발전과 서양화법의 수용에도 많은 업적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