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용문치미편

추천0 조회수 7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용문치미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고려시대에는 기본 기와인 암·수키와와 막새 그리고 마루 기와와 약간의 서까래 기와가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그리고 고려 중기 이후부터는 치미와 귀면기와 대신에 취두와 용두가 새롭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건축 의장의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고려 기와는 고구려적인 연꽃무늬를 계승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특색이 되고 있다. 고구려가 멸망한 다음인 통일신라시대에도 평양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중부 지방에 고구려의 막새형이 계속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고려가 이 막새형을 능동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고려 초기의 수막새는 통일신라계와 고구려적인 요소를 지닌 행인형의 두 계통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암·수막새의 문양으로 가장 대표되고 있는 것은 귀목무늬이다. 이 문양은 반구형의 돌기와 같은 단순한 의장인데 고려 중기부터 돌발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국 각지로 퍼져 매우 성행하게 된다. 고려 초기에는 통일신라의 전통과 고구려적인 요소를 지닌 막새형을 계승하여 제법 화려하고 세련된 기와를 생산하였다. 그런데 중기 이후부터는 취두나 용두와 같은 새로운 기와가 출현하게 되며 막새의 시문단위도 연꽃무늬나 당초무늬에서 벗어나 귀목무늬의 일색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후기에 이르러서는 범자가 막새에 새겨지게 되며 암막새의 드림새가 밑으로 늘어져 커지게 되는 새로운 모습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암·수키와의 표면에 타날된 고판무늬도 날개깃 모양의 우상무늬가 중심이 되고 있는 점도 주요한 변화이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기와에 청자 유약을 입힌 청자기와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어서 고려 건축의 화려함을 엿볼 수 있다. 청자 기와는 암·수키와와 막새 그리고 서까래 기와에 한정되고 있는데 개성 만월대에서 그 조각들이 출토되고 있어서 대부분이 왕국 건축에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본 유물은 남구 학익동에 위치했던 학림사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사찰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유물은 흙으로 구워지고 회색을 띤 경질계의 토제품이다. 유물의 형태는 앞뒤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양 옆이 모두 시문되어 있는 형태로 단면은 역삼각형이며 양 측면이 결실된 상태이다. 표면에 나타나 있는 문양은 두 개의 능선 사이 공간에 비늘과 같은 것을 표현한 것과 굵기의 변화나 굴곡으로 볼 때 용의 꼬리부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사찰의 기와에는 용의 문양과 관련된 종류들이 많이 있다. 귀면문 기와와 용두‚ 치미 등인데‚ 현재 남아 있는 유물의 부분이 너무도 작아서 유물과 관련시켜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귀면문 기와 등은 평면적인 형태로‚ 사래나 막새기와의 표면에 얼굴 문양만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위의 입체적인 유물과는 거리가 있을 듯하다. 치미‚ 용두 등도 역시 꼬리부분과는 거리가 있는 형태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