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천도호부청사복원도

추천0 조회수 6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천도호부청사복원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인천부읍지」에 의하면 당초에 인천도호부청사에는 객사(客舍) 20칸‚ (동헌東軒 10칸)‚ 내동헌(內東軒 33칸)‚ 삼문(三門 3칸)‚ 공수(公須 6칸)‚ 사령청(使令廳 9칸)‚ 향청(鄕聽 13칸) 군관청(軍官廳 7칸) 훈무당(訓武堂 6칸) 작청(作廳 27칸) 옥사(?舍 4칸)‚ 사창(司倉 6칸)‚ 좌기청(坐起廳 5칸)‚ 어용고(御用庫 3칸) 수미고(需米庫 4칸)‚ 군기고(軍器庫 5칸) 등이 있었으며 군기청 옆에는 연못(人造池)이 있고 연못 중앙에 지소정(知小亭)이라는 정자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객사는 당초 20칸이었으나 거의 없어지고 중앙부의 3칸 2면만이 남아 있다. 객사의 건축양식은 맞배기 지붕에 주정포(柱正包)집이다. 동헌은 문학국민학교를 지을 때 현재의 자리로 옮겨 새로 지은 것으로서 전면 6칸‚ 측면 3칸의 팔작(八作)지붕도리 집이며 최근까지 교사의 일부로 쓰여왔다. 이외의 군관청은 해방 전 경찰파출소로 쓰다가 불에 타 없어졌다고 한다. 내동원은 1955년까지 인천시민문학출장소로 쓰다가 새로 출장소가 마련됨에 따라 교정을 확장하기 위하여 헐어 버렸다고 한다. 그런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을 동헌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동헌은 당초 10칸이었고 현재 남아있는 건물이 정면 6칸 측면 3칸인 것으로 보아 동헌이 아니라 내동헌이었던 것으로 보여지며 옮길 때 새로 지은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는 거의 다 없어지고 다만‚ 객사 일부와 동헌 일부 그리고 훨씬 후에 지은 것으로 보여지는 창고가 남아 있을 뿐이다. 현재의 시청이나 마찬가지 역할을 했던 도호부청사가 이렇게 왜소해진 까닭은 우리의 문화에 대한 무지도 있었지만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교육의 일환으로 의도적으로 한 결과이기도 하다. 민족의 정기를 말살하려는 일제의 악랄한 식민지 정책은 전국 곳곳에서 도호부 청사를 허물고 그곳에다 학교를 세워 일본어를 배우게 하는 등 식민교육의 장으로 만들어 버렸던 것이다. 인천도호부청사가 어느 때 건축되었는지 확실한 것은 알 수가 없고 강희맹(?希孟)이 쓴 인천부승호기(仁川府陞號記)에 따르면 1424년(세종2년)에 이미 객사가 있었다고 기록되어있어 그 이전에 것으로 보여지는데 객사 지붕의 개와에 강희 16년(숙종3년‚ 1677)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것으로 보아 이때 청사의 수리를 한 것을 알 수 있다. 인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것은 1460년(세조6년)이다. 조선왕조 초기에 인주(고려 때의 인천의 명칭)로 불리던 인천이 1413(태종13)년에 인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460년에는 인천이 소헌왕후(昭憲?后)‚ 세종의 비(世宗?) 심(沈)씨의 고향이기 때문에 도호부로 승격지고 없는 인천도호부청사의 모습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되었던 것이다. 인천도호부의 관할 구역(동국여지승람)은 동쪽으로 안산군계에 이르는 41리‚ 남쪽으로 바다에 이르는 7리‚ 서쪽으로 제물량에 이르는 17리‚ 북쪽으로 부평계에 이르는 24리‚ 그리고 서울(京都)까지는 77리라고 되어 있다. 한편‚ 인천부읍지에는 다소(太所)‚ 주안(朱雁)‚ 남촌(南村)‚ 조동(鳥?)‚ 신고개(新古介)‚ 황등천(黃等川)‚ 전반(田反)‚ 이포(梨?) 등 10개 면(面)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유물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仁川都護部廳舍復元圖>이다. 종이에 수묵담채(水墨?彩)하였다. 커다란 고목(古木)이 있는 언덕 위에서 청사를 내려다 본 형상으로 그려져 있다. 부감법을 사용하였다. 이 그림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복원도이므로 그 모습이 완전히 이와 같았으라고 보기는 어렵겠지만 이를 통하여 현재는 사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