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천하도

추천0 조회수 59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천하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후기에 제작된 세계지도로‚ 중국 고대의 세계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법은 세계를 둥글게 표현하고 천하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지도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예부터 그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지도제작은 지형과 지물을 그대로 모두 표기할 수 없으므로 간략한 기호·부호·그림 등으로 표시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도 지도가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자세히 는 알 수 없으며‚ 고려시대 이후의 지도가 알려지고 있을 뿐이다. 고려시대 에는 풍수지리사상이 유행하여 지도제작에도 영향을 주어 나흥유(羅興儒)의 고려지도(高麗 地圖)외에 몇 점의 지도가 제작되었던 것으로 믿어진다. 조선시대에는 용도와 대상에 따라 세밀한 지도와 약도가 그려졌는데 도리식수(道理?數)·산천(山川)·역도명(驛道名) 등을 나타낸 여지승람식지도가 주로 제작·사용되었다. 이때의 지도에는 알아보기 쉽도록 채색을 하거나 地理志의 附圖라는 생각에서 설명 을 덧붙이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도는 정척(鄭陟)과 양성지(梁誠之)의 동국지도(東國地圖)‚ 백리척(百里尺)을 사용하여 만든 정상기(鄭常驥)의 동국지도(東國地圖) 등의 전국도를 들 수 있다. 또한 실제로 전국을 답사하면서 지도제작에 일생을 바친 김정호(金正?:1804?∼1866?)는 청구도(靑丘圖)와 대동여지도(?東輿地圖) 등을 제작하여 현존하는 전국도 가운데 가장 크고 세밀한 지도를 남겼다. 조선시대에는 정치와 군사상의 필요에 의하여 지도가 제작되었기 때문에 중앙에서 관장하였으며‚ 군사기밀의 누설방지를 위해 국내 및 국외로 알려 지는 것을 금지하였다. 또 조선시대에는 전국도(全國圖)와 세계지도(世界地圖) 외에도 산천도(山川圖)·군사분계도(軍事分界圖)·수리도(水利圖)·교통도(交通圖) 등의 특수지도가 제작 사용되었다. 본 유물은 조선후기에 제작된 세계지도이다. 표지를 포함하여 총 15枚로 구성되어 있다. 목판본과 필사본의 여러 종류와 이본(異本)이 전하는데 규장각도서 ·국립중앙도서관 ·영국 대영박물관 등에도 소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천하도(?下圖)`는 세계지도를 일컫는 용어이지만‚ 대개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지도 중 상상의 세계관을 나타낸 원형의 세계지도를 가리킨다. 단독으로 그려진 것은 드물고 대개는 지도책의 첫 면이나 뒤 표지 안쪽 면에 그려져 있다. 지도의 내용을 보면 가운데 중심대륙이 있고‚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내해(內涇)와 내해의 밖을 다시 환대륙(環?陸)이 두르고 있으며‚ 그 주위를 외해(?涇)가 둘러싸고 있다. 중심대륙의 한가운데에 중국이 있고‚ 대륙에는 조선 등 주변국의 이름이 적혀 있다. 내해부터 그 밖의 지역에는 지도에 따라 수십-100여 개의 나라 이름이 씌어 있으나 거의가 가상의 국가들이다. 천하도의 내용은 중국 고대의 세계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존하는 천하도는 대체로 18세기 이후의 지도에 흔히 나타난다. 그러나 중국 ·일본 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고유의 세계지도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