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각국사비탁본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각국사비탁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본 유물은 황해도 개성 영통사(靈通寺)에서 출토된 대각국사비의 탁본으로 시기는 고려 11세기이다. 영통사대각국사비는 북한의 보물급문화재 제36호로‚ 귀부(龜趺) ·비신 ·옥개석(?蓋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귀부는 화강석‚ 옥개석과 몸체는 대리석이다. 1125년(인종 3) 고려 천태종(?台宗)의 개조 대각국사 의천(義?)의 사적을 새겨 세웠다. 귀부는 용머리형이며 등에 낮은 비좌(碑座)가 있으며 옥개석은 길고 얇다란 네모진 돌추녀로 만들었는데‚ 처마에는 가름대를 아름답게 새겼다. 비신 앞면 상단에는‘증시대각국사비명(贈諡?覺國師碑銘)’이라는 전액이 있고 그 좌우에 봉황과 보상화무늬[寶相華文]를 양각하였으며‚ 비면 가장자리에도 보상화무늬띠를 양각하였다. 이 꽃무늬 안쪽에 2‚000여 자의 비문이 있는데‚ 글은 당대의 학자이며 명문장가인 김부식(金富軾)이 지었고‚ 글씨는 오언후(吳彦侯)가 고려 전기에 유행한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楷書)로 써서 새겼다. 비문에는 어려서 불가에 들어가 송나라에서 천태종과 화엄종을 배우고 돌아와 천태종을 개창하기까지의 대각국사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또 비의 뒷면에는 오른쪽에 대각국사의 문하승 영근(英僅)이 묘실과 비명을 안립한 사적기를 해서(楷書)로 쓰고 왼쪽에는 혜소(慧素)가 문도들의 이름 ·직명 등을 써서 새겼는데‚ 특히 혜소의 글씨는 명필이다. 그러나 본 탁본은 `증시대각국사비명(贈諡?覺國師碑銘)`이라는 글씨를 제외하고는‚ 그 밑의 글씨는 제대로 알아 볼 수가 없다. 영통사는 개성시 용흥동(龍興?)에 있던 사찰로‚ 1027년(현종 18) 창건되었으며‚ 고려 왕실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인종을 비롯한 여러 왕들이 자주 행차하여 분향하였으며‚ 인연이 있는 왕들의 진영(眞影)을 모시는 진영각(眞影閣)이 있었다. 대각국사 의천(義?)도 이곳에서 교관(敎觀)을 배웠으며‚ 입적한 후에는 그의 비가 이곳에 건립되었다.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문화재로는 위에서 기술한 영통사대각국사비(靈通寺?覺國師碑)외에도‚ 보물급문화재 제37호인 영통사당간지주‚ 제35호인 영통사동삼층석탑‚ 제38호인 영통사서삼층석탑‚ 국보급문화재 제37호인 영통사오층탑이 있다. 대각국사 의천(義?: 1055-1101)은 고려시대 승려로‚ 천태종(?台宗)의 개조(開祖)이다. 자는 의천‚ 시호는 대각(?覺)‚ 이름은 후(煦)이다. 문종의 넷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예왕후(仁睿?后)이며‚ 11살 때 왕사(?師) 난원(爛圓) 밑에서 승려가 되어 구족계를 받고‚ 영통사(靈通寺)에서 난원으로부터 화엄(華嚴)의 교관(敎觀)을 배웠다. 1084년 미복(微服)으로 중국 송설로 고려의 교종을 통일한 후‚ 선종의 교리에 입각‚ 천태종을 개창하여 선종의 종파를 통합하고 원효(元曉)의 중심사상인 일불승(一佛乘) 회삼귀일(會三歸一)의 원리에 입각하여 고려 불교의 융합을 실현‚ 한국 불교 발전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 유학(儒學)에도 정통하였다. 저서에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석원사림(釋苑詞林)》 《대각국사문집(?覺國師文集)》 등이 있다. (宋)나라에 입국하여‚ 계성사(啓聖寺)에서 유성법사(有誠法師)에게 화엄 ·천태 양종의 깊은 뜻을 깨우친 뒤 여러 절을 찾아다니며 불법을 공부하였다. 1086년 귀국하여 개경(開京) 흥왕사(興?寺)의 주지가 되어 그곳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두고 송 ·요 ·일본 등에서 수집해 온 불경 ·유서(儒書) 등 4‚700여 권을 교정 ·간행했다. 1095년(헌종 1)에는 화폐사용을 건의하여 이를 사용하게 하였으며‚ 1097년 인예왕후의 원찰(願刹)인 국청사(國?寺)가 낙성되자 주지가 되어 처음으로 천태를 강(講)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죽기 이틀 전에 국사(國師)에 책봉되었다. 고려의 불교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으로 갈라져 대립하던 당시에 교선일치(敎禪一致)를 역설하고‚ 화엄종인 규봉(圭峰)의 학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