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동문암막새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동문암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통일신라 초기는 우리나라 와전사(瓦塼史)에 있어서 크나큰 전환점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통일신라의 기와는 각각 특색 있게 전개되고 있는 삼국시대의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성당문화(盛唐文化)의 외연적인 자각에 따라 유례 없는 복합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통일신라 직후부터 새로운 와전형이 곧바로 개발되어 동아고와사상(東亞古瓦史上) 최고의 수준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삼국시대에 거의 제작되지 않고 있던 암막새와 마루 기와 그리고 보상화무늬전돌 등이 새로 출현하게 됨에 따라 비로소 와전의 완성시기를 맞게 된다. 기와의 종류도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는데 시문 단위도 前代에 유행된 연꽃무늬에 국한되지 않고 보상화무늬와 당초무늬‚ 금수무늬 등이 다채롭게 채용되어 그 형식적인 변화가 매우 풍부하게 전개되고 있다. 통일신라 기와는 그 형태와 문양 그리고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는데 모두가 건물을 짓기 이전에 그 사용처를 미리 고려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적인 조영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수량이 생산되었는데 여러 기와에 다양하게 채용되고 있는 문양은 단순한 미적 대상으로 장식된 것이 아니고 평안과 번영을 소망하는 신라 사람들의 정신적인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서 당시의 와공들이 고심하여 창안한 독자적인 의장이라고 할 수 있다. 암막새는 막새와 암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암막새는 외측에 네모난 주연부가 있는데 대부분 주문이 장식되고 있으며 그 내측에 덩굴과 같은 좌우 대칭형의 꽃무늬가 새겨지고 있다. 그런데 암막새는 그 턱면이 형성되고 있는 유악식(有顎式)과 형성되지 않고 있는 무악식(無顎式)의 두 형태로 구분된다. 무악식은 통일신라 초기에 제작된 암막새에서 그 와례(瓦例)가 보이고 있는데‚ 드림새의 폭이 뒷면에 부착된 암키와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여 턱면이 별도로 돌출되지 않고 있다. 암막새는 통일신라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막새의 표면에는 당초‚ 보상화당초‚ 포도당초‚ 화엽당초‚ 서조‚ 기린‚ 용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지고 있는데 덩굴과 같이 의장된 당초무늬가 중심이 되고 있다. 인동문은 당초문의 일종인 인동문의 꽃무늬와 덩굴무늬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식물문양으로서‚ 북아프리카·시리아·메소포타미아·소아시아·페르시아‚ 그리고 인도와 동남아시아‚ 중국 및 한국과 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인동문은 고대 이집트의 花文형식에서 시작되어 그리스 미술에서 완성되었으며‚ 이후 간다라 불교 미술에 흡수되어 여러 형식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거쳐 중국의 한계(漢系)의 운문(雲文) 양식과 결합되었다. 중국 고대 미술에서는 구름무늬 대신 인동문이 시문된 경우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5세기 경부터 고구려 고분 벽화를 비롯하여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출토된 장신구에 인동문이 나타나고 있다. 고구려의 인동문수막새는 인동문만 표현된 경우와 함께 연화문과 결합된 연화인동문‚ 인동문의 원형에 변화를 준 변형인동문이 표현된 예들도 발견되고 있다. 본 유물은 유물의 양끝과 기와부분이 결실된 회색연질계의 유악식 암막새이다. 유물의 문양부 위 아래로는 연주문이 시문된 주연부가 위치하고 있고‚ 문양부에는 인동문이 시문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