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전용문장식이층농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전용문장식이층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농이란 의류 및 기타 기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고리짝 모양을 두 개 겹쳐 쌓아놓은 형태의 가구이다. 1층과 2층에 각각 두마리의 용문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양층이 맞닿는 중앙에 팔괘문양과 태극문양을 나전기법으로 장식하여 1층과 2층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처리하였다. 구한말 궁중에서 사용되던 것이라 전하며‚ 일본인 모씨가 보관하던 것을 해방후에 우리박물관에서 인수한 것이다. 나전칠기는 자개를 무늬대로 잘라 목심(木心)이나 칠면(漆面)에 박아넣거나 붙이는 칠공예 기법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전감(嵌)·함방(陷蚌)·취라(吹螺) 또는 나전(螺塡)이라고도 하며‚ 한국에서는 원래 자개라고 하였다. 나전의 역사는 분명하지 않으나 중국 당(唐)나라 때 매우 성행하여 자단(紫檀)이나 침향(沈香) 등의 목심에 자개를 박은 것이 많았고‚ 대모(?瑁)와 옥을 병용하기도 하여 당시의 나전기술이 크게 발달하였음을 말해준다. 한국의 나전은 삼국시대‚ 중국 당나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믿어진다.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것이라 전하는 당나라 양식의 《보상화문평탈나전경감(寶相華文平脫螺鈿鏡鑑)》이 민간에 있는 것으로 미루어 위의 추측은 신빙성이 있다. 그후 중국은 송나라 때부터 나전기법이 쇠퇴하였으나‚ 한국은 고려 때 나전기법이 눈부시게 발달하여 도자기 공예와 더불어 고려의 대표적 공예가 되었다. 고려시대 나전칠기에 관하여는《고려사》《동국문헌비고》등에 그 기록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유물도 전해지고 있어 그러한 기록을 뒷받침하고 있다.《동국문헌비고》에 따르면 고려 문종(文宗) 때 이미 고려에서 요(遼)나라에 나전칠기를 예물로 보낸 기사가 보이며‚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왔던 서긍(徐兢)이 저술한 《고려도경》에는 고려의 나전칠기에 대하여“그 기법이 매우 세밀하여 귀히 여길 만하며‚ 나전이 장식된 말안장도 매우 정교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목칠나전(木漆螺鈿)의 정품(精品)들은 당시 관영 공예품 제작소였던 중상서(中尙署)에서 화업(畵業)·소목장(小木匠)·위장(韋匠)·칠장(漆匠)·마장(磨匠)·나전장(螺鈿匠) 등 칠공들에 의하여 양산된 사실이《고려사》〈식화지(食貨志)〉에 기록되어 있으며‚ 중상서는 목종(穆宗) 때 설치되어 고려 말기까지 존속된 것으로 보인다. 그후 《고려대장경(高麗?藏經)》이 간행되면서 그 경책(經冊)을 넣어 두기 위한 나전경상(螺鈿經箱)을 만들기 위하여 1272년(원종 13)에는 전함조성도감(鈿函造成都監)이 설치되었다. 고려의 나전공예는 고려의 쇠퇴와 함께 13세기 후반부터 점차 그 의장(意匠)과 기법이 해이해지면서‚ 성글고 거친 기법이 조선 전·중기의 나전으로 전승나전 이층농이다. 구한말 궁중에서 사용되던 것이다. 농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형태이며 다리는 안상(案床)의 형을 하고 있다. 하층 용 머리의 나전장식이 탈락되었으며 문고리도 없어졌다. 계속적인 부식으로 인하여 보존처리가 시급한 형편이다. 다리에는 두 마리의 마주보는 봉황을 표현하였고 반짝이는 태양도 함께 표현하였다. 상층과 하층이 똑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양쪽으로 두 마리 용이 마주보고 있고 용의 주위로는 구름을 표현하였다. 농의 가운데 부분과 네 모서리에는 팔괘(八卦)를 나타내었다. 된다. 조선시대의 나전칠기는 대체로 크게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즉‚ 조선 전·중기인 15-16세기의 나전의장(螺鈿意匠)은 연당초무늬[蓮唐草文]·쌍봉무늬[雙鳳文]·쌍룡무늬·보상화무늬[寶相華文] 등 고려시대의 도안이 조략(粗略)해지고 아울러 표현이 대형화된다. 후기인 17-18세기에는 점차 매죽(梅竹)·화조(花鳥) 등 해체된 그림 의장이 우세해졌으며‚ 이 시대의 청화백자무늬와 함께 순정적인 표현이 많아진다. 말기인 19세기에는 나전기법에 ‘끊음질’이 성행하였고‚ 따라서 문양보다 자연묘사에 중점을 두어 십장생(十長生)과 산수(山水)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 나타난다. 본 유물은 조선 19세기에 제작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