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자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자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수막새는 수키와의 한쪽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등 끝에 사용된다. 수막새는 막새와 수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새는 외측에 둥근 주연이 있고 내측에 여러 가지 문양이 장식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둥그런 자방(子房)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무늬가 장식되지 않는 소문대(素文帶)가 위주였으나‚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주문(?文)이나 꽃무늬가 새겨져 시기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 초기는 우리나라 와전사(瓦塼史)에 있어서 크나큰 전환점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통일신라의 기와는 각각 특색있게 전개되고 있는 삼국시대의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성당문화(盛唐文化)의 외연적인 자각에 따라 유례 없는 복합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통일신라 직후부터 새로운 와전형이 곧바로 개발되어 동아고와사상(東亞古瓦史上) 최고의 수준을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삼국시대에 거의 제작되지 않고 있던 암막새와 마루 기와 그리고 보상화무늬전돌 등이 새로 출현하게 됨에 따라 비로소 와전의 완성시기를 맞게 된다. 기와의 종류도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는데 시문 단위도 前代에 유행된 연꽃무늬에 국한되지 않고 보상화무늬와 당초무늬‚ 금수무늬 등이 다채롭게 채용되어 그 형식적인 변화가 매우 풍부하게 전개되고 있다. 통일신라 기와는 그 형태와 문양 그리고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는데 모두가 건물을 짓기 이전에 그 사용처를 미리 고려하여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가적인 조영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수량이 생산되었는데 여러 기와에 다양하게 채용되고 있는 문양은 단순한 미적 대상으로 장식된 것이 아니고 평안과 번영을 소망하는 신라 사람들의 정신적인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서 당시의 와공들이 고심하여 창안한 독자적인 의장이라고 할 수 있다. 사자는 가장 용맹하고 신령스러운 동물로 호랑이와 더불어 백수의 왕으로 군림한다. 사자는 아프리카와 서역 여러 나라에서 서식하는데 털은 황갈색을 띠고 있어 금빛의 원숭이나 개와 같으며 머리는 크고 꼬리는 길다. 또 청색을 띠고 있는 것도 있는데 구리 같은 머리‚ 철 같은 이마‚ 갈고리 같은 발톱‚ 톱 같은 어금니‚ 활 같은 귀‚ 우뚝한 코‚ 번개같은 눈빛‚ 아름다운 수염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자는 근동지방에서 가장 고귀한 왕의 신분으로 상징되었으며‚ 불교에서는 불법의 수호자로 신앙되었다. 수막새에 장식되고 있는 사자문은 입상과 좌상으로 구분되는데‚ 입상의 경우는 날개를 부착시켜 그 위엄을 더해주고 있다. 이러한 불법의 상징인 사자상은 귀면문과 더불어 벽사의 상징으로 수막새에 장식된 주요한 문양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사자문은 출토품이 그리 많지 않으므로 기와의 수급을 파악하는데 좋은 자료로 활용되며‚ 금장리 와요지에서도 출토되어 사자문의 제작처가 일부 파악되었다. 본 유물은 회청색경질의 계통으로 반파되었다. 문양부에는 중앙의 사자문을 중심으로 그 외부로 연주문과 보상화문이 배치되고 있으며 주연부에는 꽃술대가 장식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