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간돌도끼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간돌도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돌의 전면 또는 일부분을 갈아서 만든 도끼로서 나무를 자르거나 가공하는데 쓰이는 도구 <발달과정과 역사> 간돌도끼는 자연석을 타격하여 만든 뗀돌도끼(打製石斧)와 달리 매우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제작·사용되어졌다. 신석기시대부터 간돌도끼가 등장하지만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청동기시대부터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도끼는 일반적으로 날의 형태에 따라 양날도끼(兩刃石斧)와 외날도끼(單刃石斧)로 구분된다. 양날도끼는 동체의 날부분(刃部)의 양쪽을 똑같이 좌우대칭으로 갈은 경우이고‚ 외날도끼는 한쪽 면만을 갈아 사용한 것을 말한다. 양날도끼의 몸통 단면형태는 타원형 또는 모가 둥근 장방형이 일반적이며 날의 평면형태에 따라 곧은날돌도끼와 조개날돌도끼로 구분된다. 양날도끼의 크기는 작은 것은 길이 15∼17cm 정도에서부터 큰 것은 20cm 이상이며 무게도 1‚000g이 넘는 경우도 있다. 양날도끼의 용도는 날에 남아 있는 사용흔적으로 미루어 보아 주로 나무를 자르는 도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으며 땅을 파는 용도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외날도끼는 몸통의 평면형태가 장방형인 자귀와 소형주상단인석부(小形柱狀單刃石斧)‚ 편평단인석부(扁平單刃石斧)로 구분되고 이 중 자귀는 다시 몸통에 자루를 결박하는 홈의 유·무에 따라 홈자귀(有構石斧)와 턱자귀(有段石斧)로 나누어진다. 턱자귀는 머리부분에 단을 만들어 자루를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고‚ 홈자귀는 몸통의 측면에 홈을 파서 자루를 결박하여 사용하기 쉽게 제작한 것으로 턱자귀보다 발달된 형태이다. 이들의 용도는 나무를 다듬을 때 사용한 이차 가공구(加工具)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턱자귀는 중국동북지역과 한국의 서북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데 비해 홈자귀는 한반도 중남부 지역과 일본 구주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자귀는 중국 화남지방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동남아시아에서는 목구제작과 홈을 파내는 도구로‚ 중국 동남지방의 원주민은 통나무배의 제작에 사용했다고 한다. 이밖에 일반적인 도끼형태와는 달리 바퀴날도끼(環狀石斧)‚ 톱니날도끼(星形石斧‚ 太頭石斧)등의 특수한 형태의 도끼가 있다. 바퀴날도끼는 모양이 가운데 나무자루를 끼우기 위한 구멍이 있는 원반형이고 톱니날도끼는 가운데 구멍이 있고 별 모양의 형태를 하고 있다. 형태로 보아 실제 생활도구 보다는 전투용이나 지도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상징품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간돌도끼는 두께가 매우 얇은 양날도끼이다. 전체적으로 결실이 심하며 몸통의 상당부분이 박리되었다. 도끼날에는 상하로 마연한 흔적이 거칠게 남아있다. 현재 상태로 보아 몸통의 좌우 가장자리와 도끼날부분만 정교하게 마연한 것으로 보인다. 단면형태는 얇은 장방형이며 암질은 세일재질이다. <참고문헌> 國立文化財硏究所‚『韓國考古學事典』‚ 2001. 尹德香‚ 「石器」‚『韓國史論』12‚ 國史編纂?員會‚ 1983.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