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황비창천명선문화형경

추천0 조회수 14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황비창천명선문화형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구리로 만든 거울. 동판(銅板)의 표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을 비추어 볼 수 있게 한 것으로‚ 뒷면에는 가지가지 아름다운 문양 등을 새겨 사용하였다. 동경의 형태는 원형‚방형‚장방형‚오화형(五花形)‚ 육화형(六花形) 팔화형(八花形)‚사릉형(四稜形)‚육릉형(六稜形)‚팔릉형(八稜形) 등으로 세분된다. <역사> 거울의 기원은 청동제의 감(鑑: 큰 대야)에서 찾고 있는데‚ 안에 물을 담아 얼굴을 비추어 보았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그러다가 점차 물이 없어도 얼굴이 비치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만들어진 것이 동경이다. 선사시대의 우리나라 동경은 중국의 초기 동경과 한경(漢鏡)의 영향을 많이 받아 새로운 모습으로 발전되거나 모방되었다. 중국의 동경은 시대적으로 보아서 비교적 오랜 형식의 동경을 선진경(先秦鏡). 전국경(戰國鏡) 또는 초식경(楚式鏡)으로 부르고 있는데 춘추시대를 거쳐 전국시대에 이르러 나타난 전국경은 지금까지의 주술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생활용구인 화장구로서의 기능을 하기에 이른다. 삼국시대의 백제의 동경은 매우 거칠고 조잡하였고‚ 신라의 동경은 새‚벌레‚물고기‚나비 등 자연적인 무늬가 많아졌으며‚ 통일신라시대의 동경은 거울 뒷면에 나전‚호박‚공작석 등으로 문양을 만들고 바탕에 수지(樹脂)를 발라서 붙이는 기법으로 매우 화사하였다. 고려시대의 동경은 `고려경(高麗鏡)` 이라 일컬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데 독자적인 동경과 그것을 되부어낸 모방경이 있고 드물게는 화경계(和鏡系)로 보이는 것도 볼 수 있다. 특히 납이 많이 함유되어 황동질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며‚ 따라서 거울면은 수은 등을 이용하여 자주 닦고 문질러야 한다. 또 뒷면에 하나의 꼭지를 중심으로 무늬가 있는 내구(內區)와 외구(?區) 및 반원형의 테두리(周緣)를 갖춘 형식에 도드라진 무늬를 배치한 것이 기본적이다. 거울의 외형은 원형‚방형‚화형(花形)‚능형(綾形)‚종형(鍾形) 뿐아니라 손잡이가 달린 병경(柄鏡)‚현경(縣鏡) 등 다양하며‚ 뒷면에는 화조(花鳥)‚서수(瑞?)‚고사인물(古事人物)‚보상당초(寶相唐草)‚문자(文字)등이 다채롭게 시문되어있다. 조선시대의 동경은 대형화되고 얇아지며 범자(梵字). 국화문 등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이때에는 일본에서 화경이 전래되어 에도경(江戶鏡)의 흔적이 보이기도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동경은 거울의 외형이 팔화형(八花形)으로 가운데 부분(꼭지)이 볼록 튀어나와 있다. 문양(紋樣)은 중앙에 배(船)모양‚ 윗부분에 문자(文字)모양‚ 그외 물결무늬와 꽃모양이 양각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