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민심서

추천0 조회수 107 다운로드 수 5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민심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목민심서는 정조 때의 문신 ·학자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고금(古今)의 여러 책에서 지방 장관의 사적을 가려 뽑아 치민(治民)에 대한 도리(道理)를 논술한 책이다. <작가> 정약용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미용(美鏞)·송보(頌甫). 초자 귀농(歸農). 호 다산(茶山)·삼미(三眉)·여유당(與?堂)·사암(俟菴)·자하도인(紫霞道人)·탁옹(翁)·태수(苔)·문암일인(門巖逸人)·철마산초(鐵馬山樵). 가톨릭 세례명 요안. 광주(廣州) 출생이다. 1783년 회시에 합격‚ 경의진사(經義進土)가 되어 어전에서 《중용》을 강의하고‚ 1784년 이벽(李蘗)에게서 서학(西學)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책자를 본 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178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가주서(假注書)를 거쳐 검열(檢閱)이 되었으나‚ 가톨릭교인이라 하여 같은 남인인 공서파(功西?)의 탄핵을 받고 해미(涇美)에 유배되었다. 10일 만에 풀려나와 지평(持平)으로 등용되고 1792년 수찬으로 있으면서 서양식 축성법을 기초로 한 성제(城制)와 기중가설(起重架說)을 지어 올려 축조 중인 수원성(水原城) 수축에 기여하였다. 1794년 경기도 암행어사로 나가 연천현감 서용보(徐龍輔)를 파직시키는 등 크게 활약하였다. 이듬해 병조참의로 있을 때 주문모(周文謨)사건에 둘째 형 약전(若銓)과 함께 연루되어 금정도찰방(金井道察訪)으로 좌천되었다가 규장각의 부사직(副司直)을 맡고 97년 승지에 올랐으나 모함을 받자 자명소(自明疏)를 올려 사의를 표명하였다. 그 후 곡산부사(谷山府使)로 있으면서 치적을 올렸고‚ 1799년 다시 병조참의가 되었으나 다시 모함을 받아 사직하였다. 그를 아끼던 정조가 세상을 떠나자 1801년(순조 1) 신유교난(辛酉敎難) 때 장기에 유배‚ 뒤에 황사영 백서사건(黃嗣永帛書事件)에 연루되어 강진(康?)으로 이배되었다. 그 곳 다산(茶山) 기슭에 있는 윤박(尹博)의 산정을 중심으로 유배에서 풀려날 때까지 18년간 학문에 몰두‚ 정치기구의 전면적 개혁과 지방행정의 쇄신‚ 농민의 토지균점과 노동력에 의거한 수확의 공평한 분배‚ 노비제의 폐기 등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정다산전서(丁茶山全書)》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저술한《목민심서》의 활자본으로‚ 1902년에 광문사(廣文社)에서 발간되었다. 광문사는 1900년 양재건(梁在?)?장지연(張志?)?현채(?采) 등이 고전의 간행을 목적으로 설립한 출판사였는데‚ 그 첫 사업으로 《목민심서》4책 1질을 간행하였던 것이다. 정가는 2원 50전. 양재건과 현채가 會)에서 6책으로 완역하였다.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교열(校閱)을 보았다. 《목민심서》는 정약용이 57세 되던 1818년에 완성된 것으로‚ 그는 그 해 19년간의 귀양살이를 마치고 해배(解配)되었다. 민생과 관련된 그의 여러 저술 가운데 가장 이름이 높다. 내용은 목민관(牧民官 : 지방관) 곧 수령의 직무와 관련된 실천윤리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데‚ ‘부임(赴任)’에서 ‘해관(解官)’까지 12편으로 편제되었으며 각 편은 또 6조로 나뉘어 모두 72조로 되어 있다. 정약용의 지방행정의 논리는 관리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백성의 편에서 관의 횡포와 부정부패를 폭로하며 견제하는 것이었다. 《목민심서》는 1904년에 김우식(金宇植)이 박문사(博文社)에서《목민심서정문(牧民心書正文)》이라는 요약본을 1책으로 간행한 바 있었고‚ 해방 이후 여러 차례 부분적인 번역이 있었으며‚ 1980년대에 다산연구회(茶山硏究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