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조인영필 서간

추천0 조회수 5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인영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인영(趙寅永 1782~1850)의 자는 희경(羲卿)‚ 호는 운석(雲石)‚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풍양(豊壤)이다. 세도정치의 한 문벌인 풍양조씨 집안에서 태어나 과거에 급제한 이후 영의정에 이르기까지 순탄한 벼슬살이를 하였다. 그는 형 만영(萬永)과 함께 풍양조씨의 세도정치를 확립한 인물이다. 또한 김정희(金正喜)와 함께 우리나라의 금석문(金石文)을 수집‚ 금석학 연구에 정진하였고‚ 특히 1816(순조16)년 성절사(聖節使) 일행을 따라 북경(北京)에 갔을 때 청의 금석학자 유연정(劉燕庭)과 교유‚ 그에게 조선 금석탁본(金石拓本) 수십 종을 기증하였다.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다. 저서로는 시문과 소차(疏箚)를 모은 ?운석유고(雲石遺稿)? 20권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조인영이 종형에게 보낸 답장서신이다. 지난번 찾아주신 것에 대해 감사와 함께 몸은 건강하신지 안부를 물었다. 이어 서문을 지어달라는 부탁은 감당치 못할 일이지만 종형이 찾아와 부탁 말을 하니 감히 사양할 수 없어 틈을 내어 지을 것이라 적고 있다. 아울러 오늘날 나라에 큰 경사가 있는 중인데 나 같은 사람이 외람되이 뽑힌 것은 매우 가슴 두근거린 일이라고 표현했다. 向者歷訪 尙用感荷 卽拜?狀 以審臘令 閒履增護 尤切仰慰 先集?? 而弁卷之托 極知不堪承當 第因從兄臨沒之書 又不敢力辭 謹當俟暇仰副也 第今國有?慶歡?之中 ?寅永無似者 ??僚選 行將北歸 而治簿之節 自太撓攘 果能有把筆時耶 以此憧憧 不宣 伏?照亮 謹謝 狀上 己丑 十二月 六日 功服人 趙寅永 頓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