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정학교필 서간

추천0 조회수 9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학교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조선 말기의 서화가로 일명 학교(鶴喬)라고도 한다. 자는 화경(化景?花鏡)‚ 호는 향수(香壽)?몽인(?人)?몽중몽인(?中?人)‚ 본관은 나주(羅州)로 사군자와 서예에 능하였던 학수(學秀)의 형이다. 관직은 종4품인 군수를 지냈다고 하나 정확한 경력은 알려져 있지 않다. 글씨는 전(篆)?예(隷)?행(行)?초서(草書)에 모두 뛰어나고‚ 광화문(光化門)의 편액을 썼다고 한다. 그림은 괴석도(?石圖)에 특히 뛰어났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정학교가 형에게 보낸 사과편지이다. 그 동안 소식을 못 드렸다며 별일 없는지 묻고‚ 자신은 전과 다름없이 지내며 일전에 집으로 돌아온 후로 조금 불평했던 것과 지난번 빌려온 것을 팔아버린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며 미안하다 적고 있다. 謹拜上 間阻?仰 卽未審比來 侍餘兄候 連衛萬重 而仰?區區之至 弟省事?昨 然而日前回庭後 以楚不平 卽?何 第向者租苞事 果是放賣然而勢也 ?何 極爲未安耳 餘萬?不備 候禮 庚辰 七月 十五日 弟 丁學敎 拜上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