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정시한필 서간

추천0 조회수 6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정시한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정시한(丁時翰 1625~1707)은 성리학자로 자는 군익(君翊)‚ 호는 우담(愚潭)‚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강원도 원주 법천(法泉)으로 낙향하여 평생 관직을 멀리하고‚ 이현일(李?逸)?이유장(李?樟) 등과 교유하면서 오직 학문과 후진 양성에만 전념하였다. 그는 1700년부터 3년 동안 문인 이식(李? 1659~1729))과 인성(人?)과 물성(物?)의 동이문제(同異問題)에 관한 논변을 벌이면서 자신은 인물성상이론(人物?相異論)의 입장을 전개하였다. 이때의 이 논변은 기호학파인 한원진(韓元震)과 이간(李柬) 사이의 인물성론인 호락논쟁(湖洛論爭)에 앞선 것이다. 저서로는 문집인 "우담집(愚潭集)"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서간은 정시한이 76세 되던 해에 김생원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보내준 글은 잘 받았으며 근간에 일기가 고르지 않는 데다가 가뭄이 계속되는데 모두 잘 계시는지 안부를 묻고 있다. 그리고 경숙이 걱정하는 바는 점차 좋아지고 있으며 종 아이가 가는 편에 이 글을 급히 적어 올린다고 말하고 있다. 頃伏?下復 憑審伊時起居萬安 良慰戀懷 信後凉熱異候 旱風日吹 未知僉候?何 敬叔所? 不至減重 而漸向差境耶 區區仰溯 爲探?? 謹此走雲 憑候不宣 伏?僉下照 謹拜 上候狀 庚辰 五月 初吉 丁時翰 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