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하응필서간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하응필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고종의 아버지인 이하응의 자는 시백(詩伯)‚ 호는 석파(石坡)‚ 본관은 전주이다. 그는 김정희의 문인(門人)으로 추사체를 바탕으로 한 서체(書體)와 특히 묵란에 뛰어나 전칭작을 포함해 서화(書畵)가 다수 전래되고 있다. 우리에게는 임금의 아버지를 지칭하는 칭호인 대원군(?院君)으로 더욱 잘 알려져 있다. 10년 가까이 어린 고종을 섭정하면서 역사에 득실의 자취를 함께 남긴 대정치가로‚ 여기(餘技)로 남긴 서화는 문기(文氣)가 높았으며 난초 그림은 추사로부터도 극찬을 듣기도 했다. 대원군 이하응(李昰應)의 글씨는 인물만큼이나 개성이 뚜렷하지만‚ 알아보기는 쉽지 않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글은 먼 길은 떠나는 친구에게 ‘우고폐황(偶鼓廢簧)’이라는 시를 써 보내며 동봉한 편지다. 寒事此酷 瞻??切 伏問兄體在省萬愉 啓?書頭 意緖何? 爲之?念 弟 省依 爲幸 拙作偶鼓廢簧 不成音律 而弟於兄之行 不可無贈言 故不顧露拙 玖以書送 以爲一?之資耳 瓊章?必太至 此回幷示之 是企是企 留拜 卽晦生上 雲人 頓首 <기타참조>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편지-조선시대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강운 명품선"‚ 순천대박물관‚ 2001. "편지-조선시대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