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완용필 서간

추천0 조회수 7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완용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대표적인 친일인사로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경덕(敬德)‚ 호는 일당(一堂)‚ 경기도 광주 출신이다. 1886(고종23)년 육영공원(育英公院)의 학원(學員)으로 들어가 영어와 신학문을 배웠다. 을사5적?정미7적으로도 일컬어지는 대표적 친일인물이었으나 그의 정치행적과는 달리 당대의 명필이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완용이 대구 관찰사에게 보낸 청탁서신이다. 가뭄이 든 무더운 날씨에 잘 지내는지 본인은 전과 다름없이 잘 있으며‚ 안동의 아무개 집안 서신 문제가 영남을 시끄럽게 하고 있는데 그 문제를 자세히 살펴 이 사람의 원을 풀어주는 현명한 판결을 해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伏問旱炎 台旬宣體萬旺 仰?遠禱 弟 依尙已耳 安東居武人安宅鎬 以文翰鳴於嶺南矣 幸須?例存訊 而斯人有抑寃事 以錄呈覽矣 諒燭而從實刻決 以雪其寃?何 餘留不備 上 甲辰 五月 卄三日 弟 拜 李完用 <封 皮> 藥峴謹候 ?邱府 觀察使 台執 入納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