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도재필 서간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도재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도재(李道宰 1848~1909)의 자는 성일(聖一)‚ 호는 심재(心齋)?운정(?汀)‚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1898년 10월에 학부대신이 되어 비서원경을 겸하고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의 건의를 들어 한성의학교 설치를 인가‚ 우리 나라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기관을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 1906년 8월 태극장(?極章)을 서훈받고‚ 그 뒤 장례원경?시종원경에 임명되었으나 1907년 7월 총리대신 이완용의 모함으로 박영효 등과 함께 나문정죄(拿問定罪)를 당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도재가 집안 아저씨에게 보낸 편지이다. 우중에 몸 건강히 지내는지 묻고 자신의 노친은 잘 있으며 손녀를 얻었다는 소식은 잘 들었다고 안부를 전했다. 伏問雨中體節萬旺 伏頌伏頌 第聯疏譴罷是甚事耶 爲之仰? 生 老親上行 無甚損節 私幸 日前聞葛信 則得一孫?耳 爲探不備上候 卽生 道宰 再拜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