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단하필 서간

추천0 조회수 12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단하필 서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설> 서간은 일반 글과는 달리 말 대신 쓰는 글로 수신인이 있고 수신인과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예법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서간문이라는 형식이 생겨났다. 발신인(發信人)‚ 수신인(受信人)‚ 용건(用件)의 구성요소를 가지며‚ 이두로는 고목(告目)‚ 기별이라고 하고‚ 조선시대 이전부터는 우무‚ 유무‚ 글월이라 하였으며‚ 조선 후기에 와서 편지라는 말이 쓰였다. 순한문이나 이두문을 섞어 쓰는 한문서간과 순한글이나 한자를 섞어서 쓰는 언간(諺簡)이 있으며‚ 한글편지는 내간(內簡)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한문서간에는 수필과 평론의 구실을 하는 문학작품인 것도 있어 한묵(翰墨)이라는 명칭도 생겼다. 내용에 따라 문안(問安)‚ 평신(平信)‚ 하장(賀狀)‚ 위장(慰狀) 등으로‚ 용도에 따라 실용서간과 문예서간으로 나뉜다. 현대의 편지글에는 한문서간과 일본서간이 스며 있다. <작가> 이단하(李端?)의 자는 계주(季周)‚ 호는 외재(畏齋)‚ 송간(松磵)‚ 본관은 덕수(德水)이다.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공조좌랑으로 재직중 1662(현종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669(현종10)년 이조정랑?응교?이조참의?대사성 등을 지내고‚ 숙종이 즉위한 뒤 서인으로서 제2차 복상문제로 숙청당한 의례제신(議禮諸臣) 처벌의 부당성을 상소하다가 파직당하였다. 1680(숙종6)년 경신대출척(庚申?黜陟)으로 풀려나와 이듬해 홍문관제학이 되어 "현종개수실록"을 편찬하였고‚ 1684년 예조판서가 되어 "사창절목(社倉節目)"?"선묘보감(宣廟寶鑑)"을 지어 올렸다. 송시열의 문하에서 자라나 조선 후기 경학에 있어 대표할 만한 학자이다. 저서로는 문집인 "외재집"과 편서로 "북관지(北關誌)"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단하가 집안 아저씨에게 보낸 안부편지이다. 상을 당한 후 바깥출입을 하지 않다가 어제 조문 갈 일이 있어 한 번 움직였는데 마침 그때에 왕림하여 만나지 못한것을 한스럽다 하였다. 그리고 자신은 몸이 아파 매우 답답하다고 적고 있다. 厄?之後 專廢出入 而昨爲弔親識之喪 適一動矣 不圖尊駕直自江上而見過 以致不遇 渙嘆渙嘆 不審宵回 起居?何 卽欲就謝 而昨出減疾 方此呻痛 不得遂願 豈勝瞻鬱 ?此替書以謝 餘不宣 卽日 宗? 端? 頓 <기타참조>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참고문헌> "편지-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상"‚ 순천대박물관‚ 2003.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